|
정부는 우선 한전이 전기 공급 포화 상태인 수도권의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요청을 거부할 수 있도록 전기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키로 했다. 데이터센터의 전기 공급 요청을 접수하는 한전에 따르면 오는 2029년까지 국내에 총 732개의 데이터센터가 지어질 계획인데 이중 82.1%인 601곳은 국내에 건설 예정이다. 전력 수요로 치면 4만9397메가와트(㎿) 중 3만9802㎿(80.6%)다. 현재 국내 전체 전기 수요-공급량이 8만~10만㎿란 걸 고려하면 이 수요에 대응하는 것만으로도 만만치 않은데, 수도권 계통 혼잡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번 법 개정을 통해 한전이 송·배전망 확충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의 데이터센터 등 대용량 전기사용 신청은 거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수도권 규제 강화와 함께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혜택도 강화한다. 특히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많아 전기가 남고 있는 호남·제주 지역과 수력·수열 발전이 풍부한 강원 춘천권, 원전 건설 계획이 잡혀 있는 동해안권 세 곳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유치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신설·이전 기업에 각 지자체의 지원과 별개로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건설 희망 기업을 찾아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지원하는 작업도 본격화한다. 또 국토부는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특허 클러스터 조성과 데이터센터 건설 관련 행정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과기부도 클라우드산업 종합지원 대책 등 관련 계획에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포함키로 했다. 한전도 이들 기업에 시설공사비를 50% 할인하거나 예비전력 요금을 면제하는 등 지원을 확대한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데이터센터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이지만 수도권 집중 심화로 송·배전망 등 전력 인프라 추가 건설 부담과 계통 혼잡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데이터센터가 제때 지어져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라도 전력 공급이 풍부하고 계통 접속이 원활한 지역으로의 입지 분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