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정명수기자] 이맘때만 되면 국제 금융시장을 긴장시키곤 했던 일본의 `3월 위기설`, `금융 대란설`이 어찌된 일인지 올해는 돌아다니지 않는다.
일본 은행들이 과거와 달리 부실 채권처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위기설`이 없어졌다고 20일 뉴욕타임즈가 보도했다.
3월 위기설은 버블경제 붕괴 이후 연례 행사처럼 반복됐다. 회계정리 기간인 2월말부터 3월까지 일본 은행들은 보유한 주식의 평가손을 회계장부에 반영시켜야한다.
이는 은행권에 큰 부담을 주고, 주식시장에도 악재로 작용한다. 주가 하락은 평가손을 늘리고, 은행 실적은 더욱 나빠진다. 이렇게 악순환에 빠진 금융시스템이 마침내 붕괴한다는 것이 3월 위기설의 내용이다. 위기설이 나돌때마다 일본 정부가 나서서 급한 불을 끄는 것으로 한해 한해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그러나 올해는 다르다. 은행들이 전에는 꺼려하던 고통스러운 자구노력을 하고 있다. 악성 부채 상각, 주식 매각, 증자 등에 솔선해서 나서고 있는 것. 인력을 줄이고, 지점을 폐쇄하는 등 비용절감도 마다 않는다. 골드만삭스나 메릴린치같은 외국기업으로부터 새로운 자본 출자를 받기도 한다.
JP모건의 신용분석가인 레이코 매카시는 "올해는 정부뿐아니라 은행들도 달라졌다"며 "문제 거리를 치우려고 은행들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것이 "3월말 일본의 대형 은행이 문을 닫을 것"이라는 우려를 잠재우고 있다는 것.
S&P도쿄의 나나 오츠키는 "최소한 은행들이 방향은 잘 잡았다"며 "다음 단계에서 은행들이 당초 전략대로 실행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은행의 `전략`은 일본 정부로부터의 도움에 달려있다. 일본은 공적자금을 조성, 은행으로부터 10조엔(840억달러) 규모의 부채를 매입해주는 구조조정 계획을 세웠다. 일본은행(BOJ)도 2조엔 투입에 동의했다.
그러나 일본 은행들이 문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 일본 경제는 디플레에서 빠져나올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디플레가 계속되면 기업들이 은행 빚을 갚기가 더욱 어렵고, 부실채권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은행 자본금을 늘리는 것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기존에 발행된 주식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 UFJ홀딩스, 미즈호홀딩스, 스미토모미츠이 등은 주가 희석을 막기 위해 우선주 발행을 시도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스미토모미츠이의 경우는 우선주가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어서 투자자들을 실망시켰다. UFJ홀딩스는 S&P의 단기 신용등급이 떨어져, 주가가 곤두박질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