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영훈 법무법인 광장 고문이 지난달 27일 서울 중구 통일로 케이지타워 KG하모니홀에서 열린 강연에서 이렇게 밝혔다. 송 고문은 이날 ‘탄소중립과 자본시장’이라는 주제로 탄소중립비용의 현재와 미래, 지속가능금융의 부상, 그리고 우리의 대응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내놨다. 송 고문은 “탄소배출권거래, 지속가능보고서 공시, SRI채권 세그먼트, K-taxonomy 등 그간 정부와 시장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지속가능금융 생태계의 초석이 마련됐다”면서 “사회적 합의 도출, 부처 간 정책 공조, 실효성 있는 민관 협력 등으로 체계적이고 일관된 금융시장 정책을 마련해야할 때다”고 강조했다.
송영훈 고문은 IPO를 포함한 자본시장, 거래소 관련 부문의 전문가로 한국거래소에서 유가증권시장 본부장보을 역임했다. 송 고문은 막대한 탄소중립 비용을 공공자금(public fund)만으로 충당하기엔 역부족이라고 판단한다. 유럽의 ‘유럽피안 그린 딜’(European Green Deal)같은 민간 금융 시스템을 통한 자금 조달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금융회사의 경우 직접적인 넷제로(net-zero) 투자 외에 기업의 넷제로 투자를 지원하는 등의 역할에도 나서야 한다. 송영훈 고문은 “자본시장은 결국 장기투자를 하는 시장이고 또 위험투자를 하는 분야다”면서 “지속가능금융에 은행 영역보다 자본 시장 영역이 적합한 이유도 그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차원을 넘어서 민간 차원에서 지속가능금융에 심도 있는 투자가 필요하고, 현실적으로도 지속가능금융에 유동성이 있는 풍부한 민간 자본 시장이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
송영훈 고문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지속가능성 요소의 공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ESG 정보가 양질의 신뢰성, 공정성, 명확성, 일관성 등을 갖고 공시에 담겨야 한다는 거다. 실제로 미국 기관투자자가 미국증권거래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에 지속가능투자 확산에 따른 공시 요구를 청원하고 있다. 연기금 등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없으면 투자를 못하기 때문에 공정한 ESG 정보를 제공해달라는 것이다. 송 고문은 “지속가능성 정보 수요 증가는 공시 제도에 일대 변화를 만들고 있다”면서 “글로벌 공시기준을 통합하자는 논의도 나오고 있고, ISSB 스탠다드 등이 그 대표적인 통일적 공시 기준의 하나다”고 설명했다.
이날 강연은 이데일리와 경기대학교(이윤규 총장)가 ‘탄소중립 실천 및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에 대한 업무협약(MOU)’에 이어 마련된 ‘탄소중립 : 미래가치와 사회적 책임’ 포럼의 한 프로그램이다. 이번 강연은 KG하모니홀에 찾은 참석자외에 온라인을 통한 교육생을 위해 영상으로 재구성돼 이데일리 유튜브, 경기대학교 탄소중립협력단 홈페이지에도 공개된다. 앞서 이데일리와 경기대학교는 포럼 개최 외에도 △탄소중립 콘텐츠·교육 프로그램 제작 협력 △탄소중립 알리기 캠페인 운영·홍보 등에서 상호 협력을 약속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