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은행업의 대출성장률은 2021년 8.2%에서 올해 5.3%, 내년 4.3%을 기록하며 우하향 곡선을 그릴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가계대출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둔화하고, 투자수요 감소로 신용대출이 감소하면서 전년 수준에 그칠 것으로 봤다. 기업대출은 소호대출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시설자금 수요 증가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은행의 주요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 개선은 지속하겠으나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시침체 타격을 입은 증권업은 내년에도 위탁매매(브로커리지) 부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일 전망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IB부문 회복도 제한적일 것으로 봤는데, 특히 채무보증이 급증한 부동산PF에 대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게 연구소의 조언이다. 수익성 하락이 예상되는 만큼 증권사들은 안정적인 수수료 창출을 위해 자산관리 사업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전업은 경기둔화로 성장성이 정체되는 가운데 조달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기침체로 카드결제와 리스·할부 성장이 정체되고, 여전채 조달 비용 증가로 수익성도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최근 부동산PF 규모가 커진 캐피탈사의 건전성과 여전채 시장의 수급 악화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도 우려되는 상황이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악화가 표면화되면서 비은행업권은 취약계층과 자영업 다중채무자, 지방 건설사업장 등의 부실이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부동산PF 대출은 코로나19 이후 시중에 유동성이 빠르게 공급되면서 급증했다. 지난 2011년 51조원에 불과했던 부동산PF 규모는 올해 6월 112조까지 늘었다.
백종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10년간 건전성이 하향 안정화됐으나 내년은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고 금리상승으로 인한 가계 채무부담의 급증, 부동산 경기 침체로 PF부실이 늘어날 우려도 크다”며 “반면 코로나 금융 지원으로 건전성 착시는 더욱 심화될 수 있어 금융회사들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