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들은 현재 부동산 PF 시장이 최악의 시나리오로 전개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 사업장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어 부실과 부실우려 사업장 정상화를 위한 노력은 계속해야 한다고 봤다. 특히 대주단 협약 적용이 부실 사업장을 가리키는 적신호가 아니라 사업장 정상화의 청신호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당국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총 30개 사업장에 대해 PF 대주단 협약이 적용됐다. 그 중 부결된 11개를 제외한 19개 사업장이 현재 협약을 협의 중이다. 19개 사업장에서는 연체대출의 기한이익 부활(만기전 대출 회수 유예) 12건(중복 포함), 신규자금 지원 2건, 이자유예 12건, 만기연장 13건 등이 추진되고 있다.
협약이 적용된 사업장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15건(경기 7건, 서울 5건, 인천 3건), 지방 15건이다. 용도별로는 주거시설 20건, 업무시설 4건, 상업·산업시설 각 2건, 숙박·기타시설 각 1건에 협약이 적용됐다.
금융당국은 사업장 리파이낸싱(재금융)에 금융지주 계열사가 신규로 참여(2500억원 내외)하거나 사업장의 필수사업비 확보를 위해 신규로 대출(최대 3000억원)할 예정인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금융지주는 5000억원의 부동산PF 론펀드를 조성해 PF 사업장의 유동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부동산PF 정상화 방안의 하나인 정책금융기관의 사업자 보증 지원과 관련해서는 30일 기준 주금공과 주택도시보증기금(HUG)이 총 6조100억원을 공급했다. 단기 잠금인 PF-ABCP의 차환(채권돌려막기)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신설한 3조원 규모의 ‘PF-ABCP 대출 전환보증’도 1조2114억원을 공급했다.
이밖에 캠코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도 9월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있다. 현재 5개 위탁운용사 선정을 위한 위탁운용사 신청 및 접수과정에서 총 25개사가 제안서를 신청했다. 당국은 6월중 운용사 선정을 거쳐 사업장 발굴 및 펀드 결성을 진행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PF대주단 협약이 단순한 만기연장의 수단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공정한 사업성 평가를 전제로 대주단과 시행사, 시공사가 이해조정과 손실부담을 전제로 만기연장이나 신규자금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