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김윤경기자] "이라크는 기회의 땅." 포탄으로 폐허가 되어 버린 이라크 재건사업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통신기업들이 이라크에 잔뜩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이라크 통신네트워크 및 설비시설 재건 시장은 약 40억달러 규모로 추정되고 있다. 통신업체들의 관심이 쏠릴 법도 하다.
이라크 재건 프로젝트와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는 미국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AID)는 용수시설이나 도로 등 기본 인프라스트럭처와 관련된 해당업체들과는 계약을 맺었지만 아직까지 통신관련 프로젝트는 발주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제이 가너 이라크 재건-인도지원처(ORHA) 처장은 지난 21일 바그다드를 방문한 뒤 통신 재건 프로젝트에 대해 고려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직까지 구체안이 나오지 않은 만큼 통신업체들은 자신들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암중모색하고 있다.
사실 이라크의 통신 환경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 이전에도 열악하긴 했다. 피라미드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90년대 이라크에는 100가구당 5.3개의 전화선이 놓여있었으나 현재는 100가구당 전화선 3개로 줄어들었다. 이란 16개, 시리아 11개, 미국 67개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전쟁 이전에도 이라크 통신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약 7억~10억달러가 들 것으로 추정됐었다.
전문가들은 미국 통신업체나 대형업체들이 통신 재건사업을 독주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메리칸테크놀러지리서치의 애널리스트 알버트 린은 이라크 통신시장 재건 프로젝트는 모토로라와 루슨트테크놀러지, 에릭슨 등과 같은 업체에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린은 "만약 미국기업들이 우선시 된다면 이들 미국 대형 이동통신장비업체들이 선도적으로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적인 이동통신장비업체 에릭슨과 노키아 역시 우선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장비제공에 나섰던 지멘스 등도 언급하고 있다.
지난 98~1001년 유엔(UN)으로부터 통신관련 계약의 3분의 2를 따냈던 프랑스와 중국 통신업체들은 이들 정부가 미국의 이라크 공격에 반대했던 만큼 통신 계약을 따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피라미드리서치의 애널리스트 조셉 브라우드는 프랑스, 중국 통신업체들은 하청계약을 체결하거나 아예 이라크쪽은 돌아보지도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후세인 정부는 그동안 대부분의 통신관련 사업을 프랑스나 터키와 함께 해 왔고 80년대 건설된 통신 네트워크의 대부분은 알카텔이 맡았던 만큼 알카텔의 수주 가능성은 아주 없지는 않다.
알카텔 대변인은 "우리가 이라크의 역사와 네트워크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통신재건사업에 나서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재건사업에 나설 의지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