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유럽연합(EU) 주재 중국 대사 푸콩은 “중국과 무역을 제한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EU가 거절해야 한다”고 밝혔다.
| 푸콩 EU 주재 중국 대사 (사진=AFP) |
|
푸 대사는 3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유럽에서 보호무역주의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며 “미국은 중국과 EU간 정상적인 거래를 방해하기 위해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 정신으로 중국처럼 성장하는 시장을 포기할 곳이 어디 있겠느냐”며 “유럽 정치인들도 중국에 대한 긍정적인 기업정서를 훼손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그는 최근 보호무역주의 경향으로 네덜란드가 대 중국 반도체장비 수출을 제한한 것을 꼽았다. 네덜란드는 최첨단 반도체를 만드는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뿐만 아니라 한 세대 전 모델인 심자외선(DUV) 노광장비까지도 중국 수출을 금지할 방침이다.
푸 대사는 “유럽정부와 유럽 정치인들이 그글의 이해관계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미국의 부당한 압력에 저항하길 바란다”면서 “중국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자국의 이익이 이렇게 짓밟히는 것을 지켜볼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수출 제한 조치 정도에 따라 중국이 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셈이다.
최근 EU가 발표한 핵심원자재법·탄소중립산업법 초안에 대해서도 “대부분 조치는 사실상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위반된다”며 정식 항의할 것을 시사했다. EU의 핵심원자재법에 따르면 EU는 2030년까지 제3국 전략적 원자재 수입 비율을 역내 전체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떨어트리기로 목표를 세웠다. EU는 희토류의 90% 이상을, 리튬의 60% 이상을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는데 ‘자원무기화’ 우려를 고려해 중국 의존도를 차츰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유럽내에서도 중국과 이해관계는 엇갈리는 만큼 대 중국 수출규제의 방향성은 아직 명확하게 자리잡히지 않았다. 독일의 경우 최대한 중국과 거래를 유지하려는 입장이다. 유럽 내에서 중국과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독일이다. 독일 싱크탱크연구소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미중 갈등이 한창이었던 지난해 독일기업은 사상 최대인 115억유로(약 16조2000억원)를 중국에 투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