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이장무 공동위원장 주재로 제1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개최하고 ‘정부 R&D 중장기 투자전략’ 등 6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
국가과학기술심의회는 14개 부처 장관, 9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과학기술 분야 최고심의기구다.
이 날 황 총리는 “올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등 정부가 과학기술을 체계적으로 육성한 지 5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라며 “과학기술 발전이 우리 경제성장의 굳건한 토대가 됐던 지난 50년과 같이 앞으로도 과학기술이 국가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도록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중심이 되어 적실성 있는 과학기술정책의 수립과 추진에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황 총리는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와 동시에 신산업 분야의 성장엔진도 둔화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독보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면서 “중장기적으로 ‘선택과 집중’의 R&D투자전략을 바탕으로 제2, 제3의 혁신적 R&D기업이 지속적으로 탄생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힘써 나갈 것”을 주문했다.
이날 국과심은 정부연구개발(R&D) 중장기 투자전략을 심의·확정했다.
정부는 정부 R&D 투자의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기 위해 △ICTㆍSW △생명ㆍ보건의료 △에너지ㆍ자원 △소재ㆍ나노 △기계ㆍ제조 △농림수산ㆍ식품 △우주ㆍ항공ㆍ해양 △건설ㆍ교통 △환경ㆍ기상 등 9대 기술분야를 선정하고 중점 투자분야와 전략을 마련했다.
9대 기술분야별 중점 투자분야는 ICT·SW분야는 소프트웨어·콘텐츠와 사물인터넷, 생명·보건의료분야는 신약과 의료기기, 에너지·자원분야는 에너지저장과 신재생에너지, 소재·나노분야는 탄소·나노소재와 금속소재, 우주·항공·해양분야는 항공과 인공위성 등이다.
또한 국과심은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계획안은 오는 2020년까지 5년간 추진된다.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등 14개 부처는 과학기술인재의 취업·창업 역량강화, 이공계 대학의 교육·연구 역량강화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구인·구직자 간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일학습병행제를 2020년까지 60개 대학으로 확대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된 지역특화산업학과(17개), 창업 학위과정을 신규로 운영한다.
이공계 대학의 교육·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산업연계 교육 선도대학(PRIME) 등도 활성한다는 계획이다. ‘(가칭)미래 수학·과학교육 표준(안)’ 개발을 통해 초중등 단계에서의 이공계 필수교육이 대학교육과 연계되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ICT를 접목한 다양한 창의체험·탐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SW 우수인재 발굴 강화를 위한 SW 마이스터고를 확대한다.
‘(가칭)과학기술인 경력개발센터’를 설치·운영해 체계적인 경력개발·전환을 지원하고 여성·고경력 과학자 활용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올해 100여명의 해외 신진 연구자를 유치하고 해외연구인력의 경력단계별 지원 강화를 통해 잠재적 과학기술인력의 활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과심은 제2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도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 등 3개 부처는 농업의 첨단산업화, 식품산업의 수출지원, 시장개방 대응 등 농정현안 분야 50대 핵심기술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농식품 벤처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내에 농식품 벤처창업 특화센터를 3개소로 확대하고 농업기술정보, R&D 지원, 투·융자 펀드(120억원 조성)도 확대키로 했다.
제3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도 확정됐다. 정부 R&D 예산 중 연구성과의 활용·확산 예산의 비중을 2014년 2.9% 수준에서 오는 2020년까지 4.5%로 확대하고,시장수요에 기반해 기업이 연구내용, 개발방식을 제안하는 자유공모형·품목지정형 연구과제를 2020년까지 산업부 과제의 50%, 중기청은 80%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출연연구소가 중소기업을 밀착 지원하는 패밀리 기업 수를 2020년까지 6,000개 수준으로 확대(‘13년 2,973개)하고, 정부출연(연)이 보유한 장비의 공동활용 허용률도 80% 수준으로 높여 중소기업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이날 국과심은 유전자가위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미래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사전에 평가해 대응하기 위한 ‘2015년도 기술영향평가 결과’를 보고·확정했다.
국과심 및 산하 위원회의 정책 및 예산 심의·검토에 있어서 이해관계자를 배제하고 위원 선임시 직무윤리 사전 진단 및 직무윤리서약서 작성을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장무 공동위원장은 “지난해 과학기술전략본부 출범이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정부 R&D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서 이번 중장기 R&D 투자 전략 수립은 의미가 크다”며 “기술 획득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가운데 중국을 비롯한 거대자본들이 주도하는 글로벌 M&A 열풍 속에서 우리 산업계가 보유한 핵심기술력을 보호하고 지켜나가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