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인사들이 툭하면 수익률에 목숨거는 `냉혈한`으로 묘사되는 데 반해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은 `현인`이라는 칭송을 듣고 있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재산(520억달러)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네브래스카주의 시골 오마하에서 검소한 생활을 고수하고, 이도 부족해 전 재산의 85%를 기부하겠다고 약속한 인물이니 `현자`라는 칭송은 과장된 것은 아니다.
◇`오마하 현인`의 옥의 티..`학살주 투자`
그러나 이런 워렌 버핏에게도 `옥의 티`는 있었다.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페
|
중국 최대 에너지 기업인 페트로 차이나는 행동주의 주주들로부터 `학살주(株)`로 불리고 있다.
페트로차이나의 모기업인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가 수단 유전에 투자한 자금이 수단 정부의 무기 구매 자금으로 유용돼 `다르푸르 학살 사태`를 간접 지원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르푸르 사태란 2003년 아프리카계 수단해방군(SLA)이 다르푸르에서 봉기하자 아랍계인 수단정부가 민병대를 결성해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학살을 자행한 사건. 아랍계 민병대가 `인종 청소`에 나서면서 약 20만∼50만명의 주민이 학살된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행동주의 투자자들과 인권단체들은 다르푸르 주민의 희생을 불러일으키는 페트로차이나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페트로 차이나에 투자하고 있던 피델리티가 이 회사 지분을 전량 처분하면서 버핏은 비난의 주요 대상이 됐다.
버핏도 페트로 차이나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7월부터 6차례 걸쳐 지분 매각..지분 절반으로 줄어
그러나 `투자의 귀재`도 `두 얼굴의 투자자`라는 오명은 피하고 싶어서였을까. 한때 11.05%의 페트로 차이나 지분을 보유, 최대 주주 가운데 하나였던 버크셔는 지난 7월부터 여섯 차례에 걸쳐 이 회사 지분을 매각하고 있다.
전날에도 페트로 차이나 주식 6661만4000주를 매각했다고 공시한 버크셔의 이 회사 지분은 9월말 현재 5.44%까지 줄어들었다.
이처럼 버크셔가 페트로 차이나 지분을 계속해서 줄여나가자 홍콩증시의 애널리스트들은 벌써부터 버핏이 아예 이 회사 지분을 전량 매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학살주 논란`을 잠재우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버크셔가 이미 10월들어 페트로 차이나 지분을 완전 매각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JP모간의 브린자 에이리크 버스튼스 애널리스트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페트로 차이나의 주가 수준(13~15홍콩달러)과 거래량(일일 평균 4억주)으로 미루어 버핏이 이 회사 지분을 몽땅 팔았다고 해도 놀랄 것이 없다"고 분석했다.
행동주의 주주들의 모임인 `학살에 반대하는 투자자 그룹(activist group Investors Against Genocide)`도 성명을 내고 "학살을 지원한다는 비난에 연루되고 싶지 않은 버핏의 심정이 투자 패턴으로 나타났다"고 환영했다.
◇윤리성 회복 vs. 단순 차익실현
그러나 버크셔의 페트로 차이나 지분 축소를 단순한 차익실현으로 보는 시각 또한 건재하다. 버크셔가 페트로 차이나 투자를 개시한 2003년 4월 주당 1.60홍콩달러였던 주가가 600% 이상 치솟은 만큼 팔 때가 됐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렉스 칼럼을 통해 페트로 차이나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에너지주가 된 것이 매각의 주요 원인"이라며 차익실현 쪽에 무게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