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분기별 조사 결과, 12월 조사에서 우울 위험군 비율이 3월 22.8%→12월 18.9%, 자살 생각 비율은 3월 16.3%→12월 13.6% 등 2021년 초 대비 정신건강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20년 3월과 비교할 때 주요 정신건강 지표인 자살생각 비율이 9.7%(2020년 3월)에서 13.6%(2021년 12월)로 40% 증가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5명 중 1명이 우울 위험으로 나타나는 등 정신건강 수준이 개선되지 않다는 뜻이다. 복지부는 “이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우울과 관련한 전체적인 조사 결과를 보면 그 비율은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특히 여성과 3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12월 우울 점수는 5.0점(총점 27점)으로, 3월 조사 결과(5.7점)에 비해 감소했다. 우울 위험군(총점 27점 중 10점 이상) 비율도 18.9%로 3월 22.8%에 비해 3.9%포인트 감소했다.
세부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월 조사 결과 30대 우울 점수는 6.4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은 연령대인 60대 이상(4.2점)보다 1.5배 높았다. 우울 위험군 비율은 27.8%로, 60대 13.8%(2배), 50대 16.0%(1.7배)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30대의 우울 점수 및 우울 위험군 비율은 2020년 3월에 조사를 시작한 이후, 지속적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20대의 경우에는 2020년 5월 조사 이후 우울 점수 및 우울 위험군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해 2021년 9월 조사 때까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으나, 2021년 12월 조사에서는 전체 평균 점수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우울 점수(여성 5.7점, 남성 4.4점)와 우울 위험군(여성 23.1%, 남성 14.9%)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30대 여성의 우울(7.0점), 우울 위험군(33.0%)이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살생각 비율은 전체적으로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고 남성, 젊은 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자살생각 비율은 2020년 3월 조사(9.7%) 이후 가파르게 증가해 2021년 3월 16.3%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2021년 6월 조사부터 다시 감소해 12월 조사에서는 13.6%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조사 시마다 남성이 여성보다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12월 조사에서는 남성이 13.8%, 여성은 13.4%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30대 남성이 22.4%로 전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으며, 20대 여성(17.3%)과 20대 남성(17.2%) 순으로 높았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은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감소했다. 그러나 12월 조사에서는 1.7점(총점 3점)으로 나타나, 전 분기(9월 1.6점)보다 소폭 증가했다. 불안은 2020년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2021년 3월 조사에서는 4.6점(총점 21점)이었으나, 12월 조사에서는 0.6점이 낮아진 4.0점이었다.
일상생활 방해정도는 전반적으로 2020년보다 감소했다. 12월 결과는 5.0점(총점 10점)으로, 6월 및 9월 점수인 5.1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정은영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19가 2년 가까이 장기화되면서 자살률 증가 등 국민 정신건강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