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조해영 기자] 국민연금이 수익률 향상과 자산군 다변화를 위해 해외투자를 늘려가면서 위탁운용 방식으로 굴리는 대체투자 자산 비중이 규정된 목표 한도에 다다르게 됐다. 국민연금이 국내 대체투자를 통해 공적 연금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해외에서 기회를 모색하는 기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국민연금 자산군별 위탁운용 목표범위 (사진=국민연금 홈페이지) |
|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민연금기금 운용지침상 대체투자의 위탁운용 허용범위는 65~95%다. 국내주식과 채권, 해외주식과 채권 등 다른 자산군에서 위탁운용 목표범위 한도가 최소 20%(국내채권)에서 최대 80%(해외채권)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지만, 이미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자산군 가운데 위탁운용의 비중은 95% 한도에 다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이 대체투자에서 유독 직접운용이 아닌 위탁운용 비중이 높은 것은 대체투자에서 해외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대체투자 가운데 해외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부동산 79.7% △인프라 68.2% △사모투자 66.4% 등으로 전체의 약 71.5%(약 72조원) 수준이다. 국내 대체투자가 많지 않아 외부 위탁운용사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대체투자라는 자산군 특성상 대부분 위탁운용이 될 수밖에 없는 데다가 국민연금이 해외 쪽으로 많이 가고 있는데 해외는 특히나 전부 위탁운용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사진=국민연금) |
|
문제는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투자로 수익률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요구와 국내 대체투자를 통해 공적 연금으로서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는 요구를 동시에 받는다는 점이다. 국내 인프라나 공공 임대주택 같은 자산에 국민연금이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024년까지 해외투자 비중을 전체 자산의 50%로 끌어올리겠다는 국민연금의 중장기적 목표와도 다소 배치된다.
하지만 국민연금의 공공투자 강화 주장은 정치권이나 시민사회계에서 잊을 만하면 나오는 사안이다. 국정감사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 대체투자 영역에서 국민연금이 일종의 사회적 투자를 시도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국민연금 내외부에서 꾸준히 제기된다”고 말했다.
다만 국민연금이 올해 기금 규모 1000조원을 전망할 만큼 덩치가 커지면서 해외가 아닌 국내 대체투자를 지금보다 높은 수준으로 가져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국내에선 국민연금이 투자할 만한 대체투자 물건이 많지 않다”며 “나중에 상황이 바뀔 수는 있겠지만 당장은 대체투자를 확대해야 하는 방향성에서 국내가 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