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소개하는 '비법'은 재개발이다. 재개발, 재건축 하면 '투기'라는 단어가 자동 연상된다. 하지만 청약통장 하나만 있으면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었던 시대가 저물고 청약 당첨 확률이 로또만큼 어려워진지 오래, 재개발을 투기가 아닌 소박한 내집마련 수단에서 바라보고 있다.
'어디 어디에 엄청나게 좋은 물건이 있다더라'는 얘길 들어도 수억원에 이르는 종자돈이 없어 들으나 마나한 정보라고 탄식한 경험이 있는 이들이라면 더욱 관심을 가질만한 책.
저자가 밝힌 서민이 재개발을 통해 내집을 마련할 수 있는 '핵심 비법'은 저평가됐지만 미래가치가 높은 지역을 고르는 것. 기존 뉴타운 지구 선정에서 '아깝게 탈락한' 곳들이 여기에 속한다. 용산구 서계ㆍ청파동, 강서구 화곡동, 중구 신당동, 구로구 구로동 등이다.
이밖에 뉴타운 이주 수요가 정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당장은 노후도 등 요건이 충족되지 않지만 5~10년 뒤 재개발을 기대할 수 있는 곳도 틈새 투자처로 소개하고 있다.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재개발 지분을 살 때 꼭 알아야 할 것들을 중심으로 엮었다.
재개발 구역이 될 만한 곳 알아보기 뿐 아니라 재개발 투자 관련 필수 개념, 분양자격 체크, 계약서 도장 찍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열 가지, 재개발 투자에 따른 추가 부담금 등이 꼼꼼히 설명돼 있다.
저자는 한국경제신문에서 발행하는 주간지 한경비즈니스 기자. '부동산뱅크' 등을 거쳐 10년 넘게 부동산 전문 기자로 일하고 있다. 저자 자신이 '대책없는' 30대 월급쟁로, 소박한 재개발 지분투자를 통해 내집마련의 꿈을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