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한국환경연구원(KEI)과 환경부에서는 2030년을 전후로 국내에서만 사용후 배터리가 10만개 이상 배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인 추세로 글로벌 사용후 배터리 시장규모는 2025년 208억 달러(28조 8000여억원)에서 2030년 424억 달러(58조 8000여억원)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이후 2040년에는 20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정부는 사용후 배터리 시장조성과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법(가칭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 및 공급망 안정화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기로 했다. 해당 법안에는 △사용후 배터리 정의와 국가의 책무 △사업자 등록제 도입 등 유통체계 마련 △재생원료 인증제 △전기차 배터리 탈거 전 성능평가 도입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 등의 제도가 담길 예정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통합법이 제정되면 사용후 배터리 회수에서 전처리, 유통에 이르는 영역에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사용후 배터리의 운송과 보관, 진단 등 법적 기준이 전무했고, 전기차 배터리는 일반 폐기물로 분류돼 수집과 유통, 가공 등의 수행은 폐기물사업자만 가능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는 한국형 재생원료 인증제를 통해 재활용 수요도 크게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유럽연합(EU)이 오는 2031년부터 신품 배터리에 코발트(16%)나 납(85%), 리튬·니켈(6%) 등 재활용 원료를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할 것을 의무화한 것처럼 한국형 재생원료 인증제(원료생산, 사용)를 2025년부터 도입해 운영하기로 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사업자등록제에 유통사업자가 새로 도입되면 기존 폐기물사업자가 직거래 형태로만 가능했던 사용후 배터리 유통사업이 보다 많은 기업들이 시도할 수 있게 돼 시장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동시에 사업자 등록제는 무분별한 사업자 진입을 걸러내며 재활용 사업의 공신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한편, 현대글로비스는 지난달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2030년까지 9조원 이상을 투자해 지난해 25조원 규모였던 매출을 2030년엔 40조원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목표 달성을 위해 주력 사업인 해상 운송 및 물류는 자동차 산업군에서 산업 전반으로 확대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등의 신사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특히 배터리 재활용 소요 비용 중 물류비가 40%를 차지하는 만큼 물류 역량을 앞세워 국내외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 우위를 점한다는 전략이다. 사용후 배터리 회수에서 전처리, 배터리 전용 물류 공급망 최적화 등의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40년까지 북미, 유럽, 국내 기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