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K-뷰티 업계가 최악의 한 해를 보내는 가운데 국내외 소비심리 위축 등 어려운 경제 여건에 업황 개선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중국을 넘어선 시장 다변화에 속도를 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제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꽉 막힌 정부 규제 완화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 서울 시내 한 백화점 화장품 코너 전경. (사진=백주아 기자) |
|
허제나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과거와 달리 중국 최대 규모의 소비행사인 광군제에서 유의미한 수요가 나오기 힘든 여건에서 4분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는 여전히 낮다”고 말했다.
실제로
LG생활건강(051900)의 올해 광군제 매출은 전년대비 7% 감소한 3600억원을 기록했다. 이중 후, 숨, 오휘, CNP, 빌리프, VDL 등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는 매출 3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 줄었다.
전문가들은 K-뷰티 업계가 부진의 장기화를 겪지 않으려면 제품 경쟁력 제고 뿐만 아니라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제품으로 시장에 충격을 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요즘 소비자들은 평범한 것을 원하지 않는다. 전반적인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에도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연구개발(R&D)에 투자를 확대하고 기능성 및 프리미엄 제품군을 추가해 브랜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뷰티산업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 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산업 발전을 가장 저해하는 대표적 규제로는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제’를 꼽는다. 광고실증제는 화장품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소비자에게 의약품으로 오인될 소지를 방지하기 위해 2011년 6월 ‘화장품 표시광고에 관한 규정’에 근거해 도입됐다. 예를 들어 피부 관련 제품에 독소 제거(디톡스), 피부 손상 회복, 상처 제거나 완화, 뾰루지 개선, 여드름과 흉터 흔적 제거 등의 표현도 금지다. 하지만 모호한 광고 표현 기준에 소비자에게 제품의 실제적 효능·효과를 전달하지 못하는 한계를 함께 가져왔다는 지적이다.
김주덕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국내 뷰티산업은 정부 지원 없이 자생적으로 성장한 대표 산업”이라며 “기업 및 산업 성장을 저해하는 지나친 관리규정과 무리한 규제를 혁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나서서 연구개발 예산 등의 정책적 지원을 충분히 뒷받침 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