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지수도 지난 일주일 동안 13%나 급락했다. 2011년 9월, 즉 8년 전 주가로 돌아갔다. 안전자산인 채권, 금 가격도 하락했다.
허 연구원은 “이번 위기가 레버리지 및 버블 붕괴 국면이라면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나 코로나19에 의한 일시적인 충격과 그에 따른 침체가 원인이라면 단기 주가 하락은 멈출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부채 상환 능력이 문제가 아니라 현금 흐름의 문제라는 설명이다. 허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해 경제활동이 멈춰버리면서 현금이 부족한 기업들이나 가계의 자금난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졌다”며 “달러 자금시장의 차입 위험을 의미하는 리보-OIS 스프레드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다”고 말했다.
허 연구원은 “갑작스러운 경제 활동 중단으로 기업들의 자금난이 신용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누구나 현금 확보에 주력하게 되면 주가가 반등하더라도 지속성과 연속성은 떨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장은 정책도 한계가 있다. 미 하원은 코로나 검사 무료, 실업수당 확대, 노약자 식량 지원 등 코로나 지원안에 합의했으나 이는 사회취약계층에 도움이 될 뿐 기업 도산 위험을 막지는 못하다”고 덧붙였다.
허 연구원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전격적으로 금리를 0%로 인하하고 양적완화도 재개했으나 이보단 민간 자산 매입 등 신용위험 확산을 막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08년 연준은 한시적으로 부실자산 구제 프로그램(TARP·Troubled Asset Relief Program) 또는 민관합동투자프로그램(PPIP·Public Private Investment Program)를 통해 민간 자산을 매입하거나 민간 자산을 담보로 대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