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과 펀더멘털 변화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데다, 자산가격 안정을 위한 금리 인상은 다른 경제분야에 부작용을 미칠 우려가 높다는 이유에서다.
이토 다카토시 교토대 교수는 이날 서울 중구 소공동에서 열린 `2006년 한국은행 국제컨퍼런스`에서 "자산가격 변동에 대응하는 것은 중앙은행의 책임범위가 아니지만, 이것이 인플레이션과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는 분명히 중앙은행의 관할 범위가 된다"며 "자산가격이 급등해 인플레이션 및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면 중앙은행은 당연히 버블 제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존 파우스트 존 홉킨스대 교수도 "중앙은행이 보유한 정책적 수단(금리 변동)은 큰 망치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리인상은 버블을 파괴시킬 만한 능력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수단이지만, 작고 세밀한 성격의 수단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영식 서울대 교수도 "중앙은행이 버블을 정확히 포착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라며 "버블인지 펀더멘털의 근본적 변화인지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최근 논문에 따르면 버블을 터뜨리기 위해서는 25bp 금리인상이 여섯번쯤 이뤄져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이렇게 큰 폭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다면 경제적 악영향이 불가피하며, 따라서 버블 제거를 위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