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자유와 연대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년~2027년)을 27일 오후 여는 ‘미래 문화예술 교육포럼’에서 발표한다. 이번 종합계획은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6조 및 국정과제에 근거해 향후 5년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
문체부는 윤석열 정부의 ‘약자 프렌들리’ 기조에 따라 약자의 문화예술 수요를 양적 확대하고, 질적으로 향상키로 했다. 꿈의 오케스트라·꿈의 댄스팀 거점기관을 확대해 아동·청소년 대상 다각적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한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국민 우울감 심화에 대응해 특화 예술 치유 지원을 확대하고, 민간기업 후원을 유치해 국고지원 이후 수혜시설의 자립을 지원한다. 수혜자가 원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중심의 사업구조를 개편한다. 수혜시설이 수요에 맞는 프로그램(강사·단체) 정보를 찾고 공모에 참여할 수 있는 매칭 플랫폼을 신규 구축해 내년부터 시범 운영하겠다는 목표다.
지역 문화예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거점 지정(인증)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고 2027년까지 거점 30개소를 조성한다.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에도 대응한다. 아동, 노인, 장애인 등 대상 특화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기획·개발하고, 디지털 플랫폼에 보급·확산을 지원한다.
K-문화예술교육 모델을 세계로 수출하는 정책도 병행한다. ‘예술꽃씨앗학교’, ‘꿈의 댄스팀’ 등 한국의 우수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적용해 문화예술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공세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첫날인 이날에는 전반적인 미래 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윤석열 정부 정책 거버넌스 변화를 바탕으로 한 미래사회 전망(장덕진 교수) △AI와 챗GPT 등 다가온 미래의 우리 삶과 문화의 변화(서민준 교수) △로컬 크리에이터 경제, 미래 문화예술교육의 변화(모종린 교수) 등에 대한 발제가 이어진다. 이후 ‘꿈의 댄스팀’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사회의 달라진 환경 속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을 논한다. 28일엔 ‘지역’과 ‘디지털’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향후 방향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