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처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번 방안은 기자실의 통폐합이 아니다"라며 "기존 37개 브리핑룸(송고실) 가운데 10여개 정도를 폐지하되 25개 정도의 브리핌룸을 합동으로 운영코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기자들의 기사 송고와 기사작성 지원은 확대하되 그와 무관한 지원은 최소화할 것"이라며 "합동브리핑센터 3곳의 송고실 좌석은 1개 언론사당 최대 4석 정도를 두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노무현 대통령은 국정홍보처로부터 `취재지원시스템선진화 방안`과 관련한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이번 방안은 취재관행을 정상화하고 합리화하는 것이며 세계적, 보편적 관행과 일치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김 처장은 전했다.
다음은 김 처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참여정부에서 언론탄압은 있을 수 없다. 언론자유의 정당성은 낡은 관행을 청산하고 새로운 시스템에 맞춰 취재방식을 보다 합리화하는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이번 방안을 마련하면서 언론계 인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나.
▲ 언론계에 구체적인 안을 갖고 의견을 구하진 않았다. 언론 학자들의 경우에도 30여분 모시고 의견을 들었다. 언론단체와도 몇 군데와 비공개로 의견을 구했다. 현장 취재기자들의 경우엔 홍보팀장을 통해 의견을 수렴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투명성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 국무회의때 국무위원들간에 구체적으로 오간 내용은 무엇인가.
▲ 주로 실무적인 내용이었다.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한 국무위원은 하나도 없었다.
▲ 워낙 민감한 사안이고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킬 수 있어 추계하지 않았다. 시설과 예산 등의 문제는 기획예산처, 행정자치부 등과 협의하겠다. 구체적으로 나오면 공개하겠다.
- 대선 주자들은 이번 정부안에 반대하고 있는데.
▲ 그분들께 정확히 설명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으로 안다. 정확히 설명하면 선진적이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정부는 되돌릴 짓은 하지 않는다.
- 도대체 뭐가 선진화란 얘기냐.
▲ 인적 지원이 아니라 시스템에 의한 지원을 말한다. 취재 지원을 보다 더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 청와대 등은 업무 특수성과 지리적 위치를 감안했다고 했는데, 뭐가 다른가.
▲ 국방부 검찰청 경찰청 등은 특수한 조직이라고 봤다. 금감위는 반관반민 성격으로 조금 미묘하다. 금감위는 내부적으로 조율하는 과정에 있다. 청와대의 경우 사무실 출입 제한이 잘 지켜지고 있고 대변인이 충실히 브리핑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