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위원장과 이 회장은 모두 이명박 대통령 측근으로 평가되지만 거리상으로 강 위원장이 대통령과 더 가까운 것이 사실이다. 우리금융지주가 출범한 후 약 10년동안 연임한 CEO(최고경영자)가 없다는 점도 이 회장에겐 부담이다.
우리금융은 당초 회추위를 구성하지 않고 이사회에서 이 회장을 재선임하는 방안을 예금보험공사와 협의했지만, 예보측이 반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강 위원장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이런 상황 탓에 금융권에서는 강 위원장이 우리금융 회장 공모에 응할 경우, 이 회장보다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한다. 물론 세간의 따가운 시선을 고려해 강 위원장이 CEO직을 고사할 가능성도 있다.
`계급상 강만수 장관이 위`라는 이 회장의 발언은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회장도 `우리금융 민영화를 마무리짓기 위해서라도 연임해야 한다`는 지적에 "업무는 서스테이너블(sustainable·연속적으로)하게 진행하는 것이 좋다"면서도 연임의사에 대한 질문에는 답을 아꼈다. 하지만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목소리 톤이 높아졌다.
이 회장은 "(작년 우리금융이 추진했던) 컨소시엄 방식보다는 블록세일, 국민주, 희망수량 경쟁입찰 등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선택의 수가 많지 않아 공자위(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도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우리금융 민영화 절차가 진행되면서 기업가치가 높아져 얻을 수 있는 민영화 프리미엄이 곧 경영권 프리미엄"이라며 우리금융을 매각시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이는 정부(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우리금융 지분 57% 중 절반 이상을 우선 매각해 우리금융 경영 자율성을 높이게 되면 주가도 자연스럽게 올라, 결과적으로 공적자금 회수금액도 많아진다는 논리다.
이 회장은 광주은행, 경남은행, 우리투자증권 등 자회사 분리매각 방안에 대해서는 "기업가치를 보전하는 것이 공적자금을 최대화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 관련기사 ◀ ☞삼화저축銀 매각에 우리 신한 하나등 3곳 참여(상보) ☞삼화저축銀 인수의향서 우리 신한 하나 등 3곳 제출 ☞[마켓in]우리은행 사무라이본드 500억엔 발행(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