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예금취급기관 사이 수신경쟁은 극도로 심화됐다. 일부 은행들이 유동성 규제 정상화 대응, 시장성 수신 애로 완화 등을 위해 수신을 확대하자 경쟁관계에 있는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도 수신확보를 위해 예금금리를 빠르게 인상했다.
수신경쟁 심화는 평균 예금금리 스프레드(가중평균 예금금리-CD금리)로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 분석 대상 기간(2014년 1분기~2023년 2분기) 중 수신 경쟁 시기(2021년 3분기~2023년 2분기) 은행권과 비은행권의 평균 예금금리 스프레드는 각각 40bp(1bp=0.01%포인트)와 82bp를 기록했다. 과도한 수신경쟁이 없었던 시기(2014년 1분기~2021년 2분기)에 은행권과 비은행권이 각각 6bp, 52bp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확대된 것이다. 스프레드가 넓어질수록 경쟁이 심화됐음을 의미한다.
유 과장은 이같은 수신경쟁이 수신 안정성을 저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리 상승기 수신경쟁 과정에서 늘어난 조달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고위험 대출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는 대내외 여건이 급격하게 변할 경우 자산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출금리 조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예대금리차 축소에 따른 금융기관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됐다.
유 과장은 “은행들에 의해 수신경쟁이 촉발될 경우 그 파급영향이 비은행권에 빠르게 전이되는 점을 고려할 때 은행들의 유동성 상황을 한층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필요시 은행의 시장성 수신조달 규제를 신축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상호금융권의 경우 개별 회원기관이 일시적으로 유동성 조달에 애로를 겪는다면 중앙회가 시의적절하게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