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가 LTE 서비스를 출시하며 무제한 정액 요금제를 선보이지 않았는데 무슨 얘기일까.
|
월 3만4000원 요금제에 가입한 LTE 사용자가 주어진 데이터를 다 쓰고 추가로 데이터를 사용했다고 하자. 추가로 사용한 데이터 금액이 100만원이라고 해도 사용자는 자신의 요금제인 3만4000원에 15만원만 더 내면 된다.
이 같은 데이터 요금 상한제는 사용자에게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지난 2006년부터 통신사들이 적용해 온 제도다. 스마트폰 도입 전 요금이 비싼 무선 데이터를 잘못 썼다가 요금폭탄을 맞는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러나 LTE 시대에 들어오면서 데이터 요금 상한제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LTE 요금제는 무제한이 없고 용량이 큰 고화질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빠르게 내려받을 수 있어 수십, 수백만원의 요금이 나오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 제도의 혜택은 KT(030200)와 SK텔레콤 사용자만 받을 수 있다. KT와 SK텔레콤(017670)은 2G와 3G에서 적용했던 데이터 요금 상한제를 LTE에도 그대로 적용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는 통신사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제도지만 데이터 요금 상한제를 악용하는 사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만약 월 15만원 LTE 무제한 요금제처럼 악용하는 일이 발생하면 통신사는 데이터 요금 상한제를 폐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실수로 데이터를 과다 사용해 데이터 요금 상한제가 필요한 사용자가 정작 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 "이 동네는 안터져요"..LTE 서비스지역 고지 의무화(상보) ☞ 국내 휴대폰 67%가 삼성..LTE폰도 1위 ☞ "4개월만에 84개시"..KT, LTE `속도전` ☞ `LTE 주마가편`..LG U+, 2월 번호이동도 승리 ☞ "LTE 때문에"..이통3사 兆단위 자금 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