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민간택지에 한해서라도 분양가상한제는 우선 폐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폐지를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와 맞지 않기 때문이다. 또 분양가상한제를 풀어야 공급을 늘릴 수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 1~7월 중 민간택지에서 건설 인·허가된 물량은 7만3000가구에 그쳤다. 전년동기 대비 42.7% 줄어든 것이다.
이런 이유로 권도엽 국토부 1차관은 지난 4일 열린 경제5단체 부회장단과의 조찬간담회에서 "국지적 부동산시장 불안에 대비해 점검을 강화하고 필요시 적기에 대응해야 한다"며 "정기국회에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폐지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국토부는 지난달까지 국토해양위 소속 의원들에게 분양가상한제 폐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설득작업을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한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 폐지가 기본 입장이고 이번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라면서도 "하지만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강남권 재건축아파트, 강북 재개발 지역 등 일부지역의 집값이 치솟을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민간택지인 재건축아파트 사업지에서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일반분양 물량의 분양가를 현재보다 상당히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사업성이 크게 개선될 경우 재건축아파트의 가격이 급등하고 이런 양상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아주 크다.
문제는 현재 강남 재건축아파트 가격이 여전히 불안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되면 이들 아파트의 가격이 뛸 것이 분명하다. 공급 정상화라는 명분으로만 추진하기에는 정부가 짊어질 위험이 너무 크다.
현재 강남 재건축아파트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는 묘수는 없어 보인다. 강남3구는 투기지역으로 묶여 있어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강도가 높은 대출규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효과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시장 일각에서는 분양가상한제 폐지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주택관련 협회 한 관계자는 "건설업체로서는 시장경제에 맞지 않기 때문에 분양가상한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며 "명분은 있지만 현 시장상황을 봐서는 정부가 제대로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