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5일 비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일괄 격상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조치의 가장 큰 이유는 비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이 우려 수준을 뛰어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이날 국내 발생 기준 확진자 현황만 봐도 비수도권은 38.3%를 차지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달 4차 대유행이 시작한 뒤로 가장 높은 수치로 비수도권은 지난 18일부터 8일째(31.6%→32.9%→32.9%→31.9%→35.6%→35.9%→37.0%→38.4%) 30% 이상을 웃돌고 있다.
이는 확진자 수 증가로도 그대로 나타난다. 수도권은 4단계 거리두기와 방역강화대책 이행 등으로 급증세는 일단 멈춘 상태다. 최근 1주간(18~24일) 일 평균 확진자 수는 966.2명으로 그 전주(990.1명) 대비 2.4%(23.9명) 감소했다.
그러나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 평균 확진자 수가 498.9명으로 그 전주(358.2명) 대비 39%(140.7명) 증가했다. 주간 비수도권 비중도 18.9%(6월 5주) → 26.6%(7월 2주) → 34.0%(7월 3주)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감염재생산지수도 수도권은 1.02, 비수도권은 1.27을 기록했다.
|
문제는 27일부터 적용하는 일괄 3단계 격상이 실제 4차 대유행을 저지하는 데 효과가 있겠느냐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실제로 큰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표면적으로만 3단계일 뿐 실제 내용은 옛 거리두기 2단계+α만도 못하기 때문이다.
가장 논란이 많은 지점은 다중이용시설 규제 범위다. 사실상 영업 가능 시간을 2시간 줄이는 것 말고 눈에 띄는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오는 27일부터 3단계 지역에서는 식당·카페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은 기존 24시가 아닌 22시까지만 운영할 수 있다. 유흥시설과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등도 22시까지 영업이 가능하다는 점은 논란이다.
중대본은 이에 대해 “지자체 의견수렴 결과 유흥시설 집합 금지, 주요 다중이용시설 운영 제한 등 추가 방역 조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자율 실시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
이에 대해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 3단계에서 다중이용시설은 물론 유흥시설까지 다 열려 있다”며 “옛 강화된 2단계에서 PC방·노래방·실내체육시설이 문을 닫았던 것을 떠올려 봐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3단계 지역에서의 가장 큰 변화인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는 이미 지난 19일부터 비수도권 지역에서 적용 중이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3단계에서 극적인 변화는 없다는 평가다. 결국 3단계 일괄 격상에서 의미를 찾으면 휴가철을 맞아 휴양지, 해수욕장 등은 야간에 음주를 금지한다는 것 정도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수도권 4단계를 격상할 때 비수도권도 같이 올렸어야 풍선 효과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비수도권 3단계를 올린 것은 잘했지만 이미 너무 늦었다. 추가적인 방역 조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