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안겨주기는 어렵겠지만, 녹색성장 전략이 장기적으로 추진되는 만큼 긴 안목을 갖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 정부 `녹색성장` 주력
정부가 녹색산업 육성에 본격 팔을 걷어붙였다. 투자자들 입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녹색 금융상품에 대한 각종 세제혜택.
일단 정부는 산업은행과 연기금을 중심으로 올 하반기에 5000억원 규모의 녹색펀드를 사모펀드(PEF) 형태로 조성키로 했다. 이 펀드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은 1인당 300만원 한도 내에서 출자액의 10%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3000만원까지 배당소득세(15.4%)가 비과세된다.
기존에 출시된 녹생성장 펀드 가운데에 공모로 모집한 특별자산펀드에도 적용된다. 녹색인증을 받은 프로젝트나 기술에 60% 이상을 투자한 경우 소득공제와 배당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
6일 제로인에 따르면 공모형태로 출시된 녹색성장 관련 특별자산펀드는 아직 없는 상태다.
이수진 제로인 펀드애널리스트는 "과거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공모펀드 출시가 추진됐다가 무산되면서 아직까지는 공모형 특별자산펀드는 없는 상태"라며 "앞으로 약관변경이나 설명서 수정을 통해 기존 녹색성장 펀드가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바꿀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녹색기술 R&D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녹색인증제`를 통해 직접 쭉정이를 가려내면 관련 산업 성장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미 올들어 정부가 `녹색성장`을 강조하면서 관련 펀드는 꾸준히 증가했다. 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3월까지 6개 수준에 머물렀던 녹생성장 펀드는 4월말 17개로 늘었고 지난달 말에는 29개로 증가했다. 총 설정액은 436억원 수준이다.
◇ 멀리 보고 투자해라
정책적인 지원으로 관심은 높아지겠지만 워낙 상반기 증시가 선전한 탓에 단기적으로 녹색펀드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높다. 그래도 정책적 지원이 가시화된 만큼 상대적으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있다.
단기 수익률을 좇기 보다는 멀리 보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녹색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을 눈여겨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탄소배출량 감소나 에너지 효율화와 같은 녹색성장은 앞으로 꾸준히 추진해나가야할 정책인 만큼 장기적으로 봐야 한다는 것.
오대정 대우증권 WM리서치팀장은 "테마열풍이 이미 한번 지나갔고 투자심리도 2분기에 비해 많이 악화됐기 때문에 녹색성장펀드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정부의 의지가 구체화된 만큼 단기 테마가 아닌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녹색펀드 투자를 고려해볼만 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