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등이 1차 협력업체의 범위를 확대하거나, 30대 그룹이 2·3차 협력업체 대한 지원을 제도적으로 어렵게 한 현행 공정거래법 관련 규정을 개정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재계 관계자들은 "물고기를 주기보다는 낚시하는 법을 가르쳐서 협력업체들이 장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궁극적인 목표"라고 입을 모은다. 이같은 상생 전략을 통한 2·3차 협력업체 경쟁력 강화는 정부의 중견기업 육성 방안과도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다.
◇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운다"
삼성이 추진중인 상생 방안의 핵심은 2·3차 협력업체에 문호를 개방해 1차 협력업체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2·3차 협력업체에서 1차 협력업체로 올라갈 경우 삼성과의 직거래가 가능해지면서 현금결제도 담보받고,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해 기술 이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삼성은 협력업체들의 경영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 1차적인 목표이지만 이들 업체들의 기술 경쟁력 또한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 관계자는 4일 "1차 협력업체 범위를 확대한다고 해서 그 자격 요건까지 완화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술력 검증도 꼼꼼히 하는 등 까다롭기 때문에 2·3차 협력업체들이 1차 협력업체로 나아가기 위해 자체 보유 기술을 발전시키려 더욱 노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003550)의 상생 방안 중 하나인 '신사업 추진시 협력업체 참여 확대' 가 추진될 경우 신사업 기술에 대한 공유가 가능해지면서 중소기업들의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 1차 협력업체들 긴장하고 있다
SK(003600)의 상생 방안 역시 2·3차 협력업체에도 상생의 혜택이 돌아가 선순환 구조를 만들자는 것이 주요 골자다.
SK는 이 평가를 통해 거래 내용이 미흡하다고 판단된 1차 협력업체와는 거래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거래를 중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1차 협력업체들 사이에서는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인 A사 관계자는 "우리 회사는 이쪽 분야에서 상당한 기술을 축적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는 않는다"면서 "그러나 1차 협력업체 범위가 확대되면 앞으로 협력업체간 기술 경쟁이 치열해질 것은 자명하다"고 말했다.
◇ "대기업이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재계 일각에서는 "대기업이 이 모든 것을 혼자 떠안기에는 사실상 한계가 있다"면서 "정부가 선순환 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대기업 A사의 관계자는 "1차 협력업체와의 상생도 걸핏하면 말썽이 생기는데 2, 3차 협력업체로 확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모든 걸 다 할 수 없다"며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적 장치도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기업 B사의 관계자도 "정부가 구체적인 정책 없이 상생만 강조하고 나서면서 대기업도 중소기업도 갈피를 잡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 관련기사 ◀
☞(마감)코스피 `쉬어가자`..1780선으로 반보 후퇴
☞`11일간 2조원 사들인` 외국인, 무슨 종목 담았나
☞삼성전자 "LED 모니터로 TV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