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의 사례는 우리나라 하우스푸어(house poor: 무리한 대출로 집을 마련했으나, 가처분소득이 줄어 빈곤하게 사는 가구)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통계청의 가계금융조사는 표본으로 정해진 가계를 직접 방문해 가처분소득과 원리금 지출 내역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조사 결과 하우스푸어는 주로 30~40대(전체 하우스푸어의 64%)로 대졸 이상(45%)이고, 수도권에 거주(74%)하고 있다. 아파트를 보유(71%)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매월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비중은 평균 42%에 이른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하우스푸어 중 38.4%가 지난 1년간 부채가 증가했고, 19.3%는 향후 1년 이내에 부채 증가를 예상했다는 점이다.
연구원은 향후 급격한 금리인상이나 집값 하락은 하우스푸어의 원리금 연체율을 높이면서 금융시스템 불안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했다.
연구원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인상 베이비스텝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집값을 안정시키고 거래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하우스푸어를 줄이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100만 하우스푸어는 금융부담을 이기지 못해 손절매하거나 주택가격 상승시 매도에 나서는 방식으로 매매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에 따르면 향후 부채 상환자금을 어떻게 마련하겠느냐는 질문에 75%가 `소득을 통해`라고 밝혔지만 나머지중 5.2%는 `부동산 처분`을 통해서, 7.3%는 `거주 변경`(작은 평수나 다른 지역으로 이사 등)을 통해 갚겠다고 밝혔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하우스푸어가 어떤 식으로든 주택 매매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어떤 판단을 하게 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며 "단, 집값이 오른다 하더라도 1주택을 소유한 실수요자라는 측면이 강해 적극적인 처분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