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전기차보급 추진에 참여하고 있는 한 외부 자문위원의 푸념이다. 전기차 가격 산정을 놓고 정부와 완성차업체간에 이견으로 공공기관 보급이 늦어지는데 대한 불만이다.
정부는 기아차(000270) 레이EV의 가격을 4000만원 초반대로 낮춰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기아차는 투자비와 원가 등을 감안해 5000만원 밑으로 낮출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르노의 터키공장에서 수입해 들여오는 르노삼성의 준중형 SM3 ZE도 마찬가지. 르노삼성은 6000만원대로 책정하고 있지만 정부가 생각하는 가격은 5000만원대 수준이다.
엄밀히 따지면 정부엔 선택권이 없다. 차값 산정의 권한은 완성차업체들에 있다. 업체들이 차값을 안내리면 정부는 제한된 예산 안에서 보급량을 줄이는 수밖에 없다.
정부차원에서 힘을 써야 할 일이지만 향후 이로 인한 과실은 전기차를 파는 완성차업체들에 돌아간다. 때문에 지금은 이를 위해 완성차업체들의 투자가 필요한 때라고 이야기한다.
현대·기아차도 전기차는 당장의 돈벌이가 아닌 투자라고 공공연하게 말해왔다. 하지만 정작 마음가짐은 미래 먹거리를 위한 투자라기보다는 당장 손해볼 일에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은 물론이고 중국 등에선 이미 전기차가 양산돼 일반인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당장 전기차 배터리 등의 기술이 이들 국가보다 앞선다고 하더라도 각종 인프라, 소비자 성향, 애프터서비스 등의 다양한 테스트를 해보지 않은 우리로선 앞으로도 이들보다 기술력에서 우위에 있다고 장담하기 어렵다. 보급이 늦어질수록 전기차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그만큼 전기차 시대를 뒤로 미룰 뿐이다.
▶ 관련기사 ◀
☞3월 첫째주, 코스피 개인 순매도 1위 `기아차`
☞3월 첫째주, 코스피 외국인 순매수 1위 `기아차`
☞[포토]기아차 판매왕, 어린이재단에 車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