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이진철기자] 내수침체와 행정수도 이전이 맞물린 최근 상황을 볼 때 우리나라의 부동산시장은 홍콩의 부동산 거품붕괴 당시와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건설산업전략연구소는 최근 `해외 부동산 거품붕괴 사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홍콩은 97년 중국반환 이후 장기적으로 내수침체를 겪고 있다"며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내수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행정수도 이전 등으로 홍콩의 가격폭락 요인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행정수도가 이전되면 서울·수도권 지역의 집값 및 오피스 임대료가 하락하고 상업용 빌딩의 공실이 증가할 것"이라며 "중국으로 주권이 반환되면서 부동산 가격의 하락을 불러일으킨 홍콩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은 지난 97년 7월 주권이 중국으로 반환되면서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했다. 주권 반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일부 부유층이 부를 해외로 유출하는가 하면 중국 본토로의 생산시설 이전과 상하이 금융주도권 형성 등으로 홍콩에 대한 투자가치가 급감했다.
이같은 투자 및 실수요 감소로 주권반환 이후 1년간 홍콩의 부동산가격은 46.8%나 하락했다.
특히 주권반환은 탈(脫) 홍콩을 부추겨 고물가 도시인 홍콩보다는 상대적으로 생활여건이 좋은 광쩌우나 상하이 등 중국본토로 활동무대가 옮겨졌으며, 홍콩주민들 상당수가 중국 본토의 부동산 매입에 열을 올리는 이른바 `북상(北上) 경제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우리나라와 홍콩이 다른 점은 중장기적으로 행정수도 이전지인 충청권에 투자가 집중되더라도 같은 국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설투자 촉진과 내수부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서울과 수도권의 인프라가 우수하기 때문에 홍콩과 같은 부동산값이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은 낮지만 오피스 등 상업용 건물은 수요감소와 공실증가로 투자수익률이 하락하고 장기적으로 집값도 하락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소장은 "충청권으로의 투자자금 이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투자수요 이동에 따른 부동산값 급락을 막기 위해선 행정수도 이전후의 서울과 수도권 발전비전을 정부가 하루빨리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