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대통령은 취임 직후 787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시행했다. 동시에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시장을 안정시켰다. 이를 통해 미국 경제는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더블딥의 공포에서도 벗어났다.
그러나 실업률은 20개월째 9%를 상회하고 있고, 주택 시장의 회복은 여전히 요원해 보인다. 대규모 경기부양책은 재정적자 우려를 높이고 있으며, 연준의 양적완화 정책은 인플레이션 가능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것이 오는 20일(현지시간)로 취임 2주년을 맞는 오바마 대통령이 직면하고 있는 미국 경제의 현주소다.
◇ 취임 2년 경제 성적표 `양호한 편`
|
특히 제조업 경기가 확장세를 지속하며 경제 성장을 주도했다.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하는 제조업지수는 2009년 1월 35.5에서 8월에 52.8로 반등한 후 2010년 12월까지 17개월 연속 경기 확장세의 기준선인 50을 상회했다.
이 같은 경제 회복세를 반영하며 주가도 급등했다. 오바마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 2009년 3월 6000포인트 선까지 밀렸던 다우 지수는 현재 1만1000포인트를 넘어선 상태다.
금융 시스템도 안정을 되찾아 가고 있다. 7000억달러 규모의 구제금융 덕분에 시스템을 뒤흔들 만한 대형 악재는 터지지 않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흑자로 전환했고, 월가의 보너스 논란이 재개될 정도로 자금 사정이 좋아졌다.
웰스파고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경제는 경기부양책과 재고 축적에 따른 회복세에서 민간 내수와 수출 증가에 따른 성장세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고용시장 정상화에 5년..오바마 재선에 영향
|
지난해 12월 미국의 실업률은 9.4%를 기록했다. 전월의 9.8%보다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지만, 이는 구직을 단념한 실업자들이 늘어난 점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으로 해석됐다. 비농업부문 일자리가 10만여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는 점이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해준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최근 한 포럼에 참석한 자리에서 "경제는 강해지고 있고 최근 몇 달 동안 더 좋아졌다"면서도 "이 정도로는 실업률이 우리가 원하는 만큼의 속도로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재정적자·인플레이션도 우려
경제 살리기 정책의 가장 큰 후유증은 막대한 재정적자다. 작년 9월로 끝난 2010 회계연도의 재정적자는 1조2940억달러다. 부유층 감세 연장으로 인해 2011 회계연도 적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무디스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미국이 재정적자를 줄이지 못할 경우 현재 `트리플A(AAA)`인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또 다른 우려는 인플레이션이다. 연준의 양적완화 정책은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높일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연준은 독립적인 통화정책기구지만, 물가가 치솟을 경우 정부도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인플레이션은 아직까지 억제돼 있다. 그러나 전미실물경제협회(NABE)는 양적완화 정책으로 인해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011년 말에 1.5%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임기는 이제 절반이 지났을 뿐이다. 그의 경제 성적표는 지금까지보다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 미국 역사상 첫 흑인 대통령으로 희망과 변화를 기대하게 만들었던 오바마의 성과는 2년 뒤 그의 재선 여부가 말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