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도시양극화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20% 소득계층은 주로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밀집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하위 20% 소득계층은 노후 불량주택지역, 정책이주단지 등을 중심으로 밀집하고 있어 도시 양극화가 뚜렷한 공간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부산시 사례의 예비분석 결과,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부와 빈곤의 군집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해운대구 우동(마린시티), 남구 대연혁신지구(대연동), 강서구 명지국제신도시(명지동), 기장군 정관신도시(정관읍) 등 2000년대 이후에 신규 개발된 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상위 소득계층이 군집하는 경향이 있다.
국토연구원은 “부산의 사례를 종합해 보면 도시양극화는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이고 있다”면서 “원도심·구도심형, 부분정비형, 전면개발형 등 개발방식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공간적 형태로 양극화 현상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김동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행정구역 단위로 구축되는 각종 사회경제 통계 자료만으로는 도시양극화의 구체적·동태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소득에 관한 금융 빅데이터와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공간 빅데이터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