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런 주장에 반기를 드는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방법으로서의 경계』(저자 : 산드로 메자드라, 브렛 닐슨. 출판 : 갈무리)의 저자들은 ‘경계 없는 세상’이라는 이미지로는 더는 우리 세계를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이 책에 따르면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경계는 확산하고 증식하고 있다.
2019년 멕시코의 ‘불법 이주민’을 겨냥한 트럼프의 장벽이 세워졌다. 코로나 팬데믹이 이후 전 세계 각국에서 ‘백신 민족주의’가 부상하고 있다. 오늘날 경계는 굳건하고 오히려 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현대 사회에서 경계는 복합적인 사회 제도다. 경계는 사람, 화폐, 물건의 전지구적 통로들을 관리하고, 통치하는 장치다. 저자들은 이 책에서 ‘경계지’(borderland), ‘변방’(frontier)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해서 경계를 다양한 행위자들과 움직임, 사건들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인식한다.
경계를 사고하는 익숙한 방식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경계는 가로막고 배제하는 장치라는 것이다. 이는 경계를 철조망, 장벽, 장애물의 이미지로 이해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경계의 목적은 통제하는 것이다’라는 통상의 이해에 도전하면서 ‘경계는 생산한다’고 말한다. 저자들에 따르면 경계는 현대의 전지구적이고 탈식민적인 자본주의의 다양한 시공간들을 생산하는 데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경계, 시간, 통치성, 시민-노동자, 번역, 그리고 공통적인 것 이외에도 이 책에서는 ‘경계’를 주제로 한 책이라고 믿기 힘들 만큼 다양한 주제들이 다뤄지며 독자들에게 수많은 개념무기들을 제공하고 있다.
라이스모’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브렛 닐슨은 호주 서시드니 대학 문화사회연구소 교수로, 전지구화에 대한 대안적 인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이주 행위, 노동 및 자본의 변혁, 기술 변화, 지정학적 과정 등을 연구한다.
남청수 옮김. 512쪽. 2만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