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발병률 높은 강직성척추염
강직성척추염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48명이 진료받았으며, 30대가 인구 10만 명당 94명으로 가장 많았다. 40대(10만 명당 69명)에 이어 20대(10만 명당 61명)으로 순으로 많았다.
강직성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생겨 점점 허리가 굳는 병이다. 특별한 외상 없이 기상 후 3시간 이상 허리 뻣뻣함이나 골반 통증이 있고, 3개월 이상 증세가 지속된다면 의심해볼 수 있다. 척추와 엉덩이 관절뿐 아니라 무릎 관절이 붓거나 발꿈치, 갈비뼈에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HLA-B27이라는 유전자와 연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면역력 저하나 세균 감염 등의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
강직성척추염 초기라면 약물 및 물리치료로도 척추 강직이나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척추 관절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맨손 체조나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할 시 치료 효과는 더욱 좋아진다. 또한, 일상에서 목과 허리를 항상 꼿꼿하게 세우는 등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 과도한 운동이나 하이힐이 척추전방전위증 부른다
척추전방전위증은 노화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으나, 과도한 운동이나 장시간의 하이힐 착용으로 인한 충격, 누적된 스트레스 등으로 척추 뼈 사이의 고리에 금이 가며 발생하기도 한다. 젊은층의 척추전방전위증 뒤에는 척추분리증이 있는 경우가 많다. 척추뼈를 연결하는 고리가 끊어져 척추뼈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경우로 척추분리증으로 인한 척추전방전위증은 대개 2030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 척추가 노화되어 굳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척추가 불안정해 흔들리거나 앞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거의 사라진다.
척추뼈가 앞으로 미끄러졌다고 해서 증상이 다 똑 같은 것은 아니다. 조금 미끄러지면 허리가 뻐근한 정도지만 분리증으로 생긴 전방전위증은 요통은 물론 다리, 종아리, 발까지 통증이 오고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척추뼈가 밀리면서 신경을 누르기 때문이다.
◇10대 구부정한 허리 ‘척추측만증’ 위험에 노출
‘척추측만증’은 성장기인 10대의 발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5년 척추측만증 진료 인원 11만 3천 명의 44.4%(5만 848명)가 10대로, 특히 성장기인 13~16세 사이에 진료 인원이 집중 됐다. 척추측만증은 일직선으로 뻗어야 하는 척추가 뒤틀리면서 S자로 휘는 것으로, 초기에는 외형적 문제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진행되면 휘어진 척추로 인해 한쪽 어깨가 처지거나 등이 비틀린 상태로 굳어지고, 만성 요통으로 고생할 수 있다.
신경이나 근육에 이상이 있을 경우, 선천적으로 척추가 휘어지기 쉬운 구조일 경우에 척추측만증이 생기기도 하지만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이다. 주로 사춘기 전에 발생하고 여자아이에게서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키가 자라는 시기인 사춘기 동안에 집중적으로 나빠진다. 20도 미만의 척추측만증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측만증 체조를 열심히 하면서 관찰한다면 대부분 큰 문제가 없다. 각도가 20~40도일 경우에는 운동과 보조기 착용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운동을 하면 척추 주변의 근육을 발달시키기 때문에 꾸준히 해 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