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이데일리·이데일리TV 공동 주최 ‘2015 이데일리 부동산 포럼’에서 주제 발표자로 나선 천현숙(사진)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장은 “주택 매매를 통해 내 집 마련을 장려하는 정책은 지속될 필요가 있다”며 “전세 수요가 매매로 전환되면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의 공급 부족 현상이 완화되고 매매시장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주택 시장 침체와 전세난이 겹쳤던 2012년과 2013년 월세 거래 비중은 34%에서 39.4%로 1년새 5.4%포인트나 급증했다. 하지만 전국의 주택 매매 거래량이 2006년 이후 8년만에 100만건을 넘어선 지난해에는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41%로 전년대비 1.6%포인트 증가에 머물렀다.
전세의 매매 전환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집값도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국감정원 자료를 보면 서울·수도권의 경우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세를 보였던 2013년(-1.1%)과 달리 지난해에는 1.5%오르며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또 지방도 지난해 매매가 상승률이 1.9%로 2013년(1.7%)보다 소폭 올랐다.
|
천 본부장은 월세가구 증가에 따른 지원책 강화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주택 임대차 보호 제도는 전세 위주이며 월세 체납에 대한 보호장치가 부족한 실정”이라며 “월세 지급 대행 및 월세 알림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고 계약 해지 사유인 월세 연체 기간의 연장을 검토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다락같이 전셋값이 치솟는 상황을 막기 위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관리제 도입 방안도 제시됐다. 천 본부장은 “전세보증금 미반환 리스크 관리를 위해 전세가율 관리선을 정해야한다”며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월세 전환 또는 반환보증 가입 의무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세가율 관리선 기준을 전세보증금 및 대출금, 법원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천 본부장은 지역 실정에 맞는 공공 임대주택 공급 제도 재정비도 주문했다. 그는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약 방식으로 공공 임대를 공급하고 성과에 따라 지자체에 교부금 등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며 “공공 임대 중 일부는 100%전세로 전환해 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에게 공급하면 젊은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