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패시브 펀드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따랐다. 글로벌 리스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해 외국인 증권자금 변동성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
게시글에 따르면 작년말 국내투자 글로벌펀드 잔액은 2580억달러로 2009년말(894억달러)의 2.9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 외국인의 증권투자 전체(2.6배)보다 빠르게 증가한 것이다.
국내투자 글로벌펀드는 자산별로 주식, 성격별로는 패시브 펀드를 중심으로 큰 폭 확대됐다. 주식펀드가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90% 내외를 차지했으며, 패시브 펀드 비중은 꾸준히 확대됐다. 패시브 펀드는 2009년 185억5000만달러 수준이었으나, 작년 1063억3000만달러까지 늘었다.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의 변동성은 대체로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이전엔 국내투자 글로벌펀드 변동성이 대외요인보다 국내 요인에 더 크게 영향을 받으면서 글로벌펀드보다 2배 이상 변동성이 컸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투자자들의 투자행태 등을 나타내는 대외요인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국내투자 글로벌펀드와 글로벌펀드와의 변동성 차이가 축소됐다.
자산별로 채권펀드 변동성이 주식펀드의 약 2배 수준이었다. 성격별로는 패시브 펀드 변동성이 액티브 펀드의 약 1.5배 수준을 보였다.
|
다만 한은은 패시브 펀드 비중 확대와 글로벌 금융사이클 긴축기 동조성 강화 등은 국내 금융·외환 부문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일반적으로 글로벌 리스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패시브 펀드의 확대는 외국인 증권자금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글로벌 금융사이클 긴축기 중 국내투자 글로벌펀드 유출입 동조성 강화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외국인 증권자금 유출압력을 증대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펀드 확대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유지하는 가운데, 국내 금융·외환 부문에 일으킬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국내 투자자의 저변 확대뿐만 아니라 거주자 해외투자의 자동안정화 기능 강화 등 종합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