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국방부는 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 및 사이버 전문인력 양성과 활용에 관한 업무협약서’를 맺었다. 이 업무협약은 이공계 우수 인재들이 군 복무를 경력단절이 아닌 전공실력 향상과 창업준비 등의 기회로 활용하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다.
먼저 이스라엘 ‘탈피오트’를 참고한 ‘과학기술전문사관’ 제도를 새로 도입한다. 탈피오트는 매년 고교 졸업생 50명을 선발, 대학교육과 군사훈련을 받게한뒤 첨단 군사기술 부대에서 6년간 장교로 복무토록 한다.
과학기술전문사관 제도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기대(UNIST), 포스텍 등에 재학하는 2학년생들 가운데 연간 20명을 모집해 공학 및 국방과학 등을 교육한 뒤 졸업과 함께 과학기술장교로 임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야전부대가 아닌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3년간 연구인력으로 일하며 병역의무를 이행한다.
그러나 당초 계획과 달리 대상자가 일반대학 이공계 학생이 아닌 과기특성화대 재학생들로만 제한돼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석영 미래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이에 대해 “제도 도입 초기여서 일단 과기특성화대 학생을 대상으로 했다”며 “제도의 장단점을 분석해 일반 대학에도 (과학기술전문사관) 문호를 개방하고 정원 규모도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 국장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이나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 등의 기술은 모두 군대에서 개발된 것들”이라며 “군대에서 배운 것이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사회적인 분위기가 형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