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개발 수요가 증가한 데다 비은행권의 사업 다각화 등이 맞물린 결과다. 은행과 보험사는 주로 아파트에, 저축은행과 증권사,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아파트 외 주택과 상업용 시설에 대출 했다. 은행·보험사는 대형 사업장 중심으로, 저축은행·증권사는 중소 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PF대출을 취급했다.
PF대출 유동화 증권 발행 증가, 보증수수료 수익 확대 노력으로 증권사 PF 대출 관련 채무보증은 2013년말 5조9000억원에서 올 6월말 24조9000억원으로 급증했다.
한은은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경우 사업 추진 불확실성 증대, 미분양 물량 증가 등으로 PF대출 부실 위험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자금 조달 비용이 오르고 주택 가격 하락 기대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담보가치가 크게 떨어져 브릿지론(사업인가 전 대출)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
증권사의 경우 유동성 제공 외에 신용위험까지 부담하는 신용공여형 보증을 주로 확대하면서 유동성 확보 부담 외에 신용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커졌다. 6월말 현재 신용공여형 채무보증 규모는 20조원으로 유동성 공여형(2조원)의 10배에 달한다. PF유동화 증권에 대한 증권사의 채무보증 확대로 PF 대출 부실시 일부 증권사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또 증권사·여전사 등은 담보가치 불확실성이 높은 수익권 증서의 담보 비중도 높다는 평가다. 저축은행은 시공사의 신용등급이 낮아 신용 사건 등에 취약하다.
한은은 “PF대출 급증세가 지속되지 않도록 업권별 취급 한도, 건전성 분류, 사업성 평가 등에 대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PF대출 부실이 금융시스템 불안으로 번지지 않도록 금융기관들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손실부담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