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국회에서 ‘2050 탄소중립 당정 협의’를 열고 탄소중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기후위기 대응은 더이상 미룰 수 없는 미래의 사활이 걸린 과제”라며 “과감한 선제대응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달 27일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서 “세계는 이미 탄소중립 사회·경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선제적 대응을 하기로 한 것은 미온적 대처를 할 경우 한국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커질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친환경 규제로 허들을 높이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린경제로 전환하지 않고서는 해외시장을 뚫을 수 없다는 전망에서다.
정부는 뒤처질수록 주력산업의 투자 및 글로벌 소싱(구매) 기회 제한 등 수출, 해외 자금조달, 기업 신용등급에서 악재가 될 것으로 봤다. 특히 기재부는 “유럽연합, 미국이 탄소국경세를 도입하면 석유화학·철강 등 고탄소 집약적 국내 주력 산업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탄소국경세가 도입되면 탄소 배출을 많이 하는 국가에서 유럽·미국으로 제품을 수출할 때 관세가 많이 붙게 된다.
업계 난색 “일방적 밀어붙이기 걱정돼”
그러나 우려도 만만치 않다. 탈석유·탈석탄·탈원전으로 신재생을 급속도로 확대할수록 전기요금 인상이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발전 비중은 석탄이 40.4%, LNG가 25.6%, 원자력이 25.9%, 신재생이 6.5%다. 발전 단가가 낮은 석탄이 급속도로 줄고 단가가 높은 신재생이 급속도로 확대되면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미세먼지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경유세를 올리거나 탄소세를 도입하면 파장은 더 커진다. SUV 차량 소지자, 화물·운송업자, 자영업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진다. 탄소세를 도입하면 석유·철강업계 등 탄소 배출이 많은 업계 부담이 불가피하다. 산업구조 전환 과정에서 기존 산업 종사자들의 일자리가 감소돼 ‘고용 쇼크’가 올 우려도 크다.
결국 관건은 얼마나 속도조절을 하고, 사회적 대타협을 모색할지에 달려 있다. 임무송 금강대 공공정책학부 교수(전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는 “조세 저항이 우려되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사회적 대타협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탄소세=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석유, 석탄 등 각종 화석연료에 함유된 탄소량에 따라 부과하는 세금이다.
※탄소중립=석유·석탄 등 화석연료로 발생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해 탄소 순배출이 제로로 되는 상태로 넷-제로(Net-zero)로 불린다. 신재생을 확대하고 경유 사용을 줄이는 등 탈석탄·탈석유·탈원전 정책이다. 우리나라는 파리협정에 따라 ‘2050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연말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이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1.5℃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2050년까지 저탄소 정책을 추진하는 로드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