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미국은 이번 조치가 정치적 관점에서 행해진 중국측의 보복관세라며 맞대응을 예고하고 있어 위안화 절상과 금융시장 개방 등을 놓고 대립각을 세웠던 양국의 갈등은 향후 더욱 첨예해질 전망이다.
◇ GM 등 對중국 車수출 타격 크지 않아
JP모간 체이스는 14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관세 부과 조치가 미국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다만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자동차 업체들의 중국 현지 공장 건설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GM은 지난해 중국서 팔린 자동차 약 243만대 중 1.3%만을 미국에서 수입했다. 더구나 GM이 중국에 주로 수출하는 자동차는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는 배기량 2.5ℓ 미만의 소형차가 주를 이룬다.
미국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해 중국에 차를 수출하는 BMW와 벤츠 등 외국 자동차 업체들도 이번 관세 부과 조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IHS의 남리타 초우 애널리스트는 "부유층은 BMW와 벤츠 자동차에 부과되는 2~2.7%의 관세 때문에 소비패턴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들 고급 차의 소비가 급격히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정부측의 입장은 다르다. 미 정부는 중국의 관세 부과조치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성명을 통해 "매우 실망스럽다"며 "의회와 협력해 최선의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도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의 샌더 레빈 하원 의원과 공화당의 짐 맥더모트 의원은 공동 성명서를 통해 "중국의 이번 조치는 부당하고 양국의 관계를 훼손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중국의 이번 조치가 지난 2009년 미국이 중국산 타이어에 대해 최고 35%의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보복 조치로 여기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중국산 타이어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가 부당하다고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으나 WTO는 3개월 전 이를 기각했다.
미국과 중국은 최근 위안화 절상 문제를 비롯, 금융 및 서비스시장 개방 등을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한 데 이어 중국도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함에 따라 무역분야에서의 양국 갈등의 골도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