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중국 부동산경기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됐다. 연구원은 “중국은 부동산 관련 활동 국내총생산(GDP) 비중이 20% 후반에 육박하는 등 부동산에 대한 과도한 경제성장 의존도로 부동산경기 사이클에 따라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이 영향을 받는 구조적인 취약함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하고 있는 중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작년 4월부턴 감소세로 전환됐고, 부동산경기 지수도 작년 이후 기준치인 100포인트를 하회하고 있다”며 “최근 부동산 기업인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과 완다그룹의 채무불이행 우려가 제기되는 등 중국 부동산 경기의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지방정부 재정 부실도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지방정부융자기구(LGFV) 채무상환 부담 확대로 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LGFV 채권은 올해 GDP 대비 53%를 기록하면서 중국 재정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지방정부 세수의 40%를 차지하는 부동산시장 부진으로 지방정부 재정 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그 외 중국이 자본과 노동 생산성 하락으로 외국인들의 투자유인이 감소하는 ‘중진국 함정’에 진입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과 GDP 대비 63.4%에 달하는 그림자금융, 가계부채 급증에 따른 소비 부진 가능성, 미·중 금리 역전으로 인한 채권시장 자본유출 및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됐다.
|
디리스킹 전략으로는 원자재 조달 다변화를 위한 중국 공급망 의존도 축소, 인접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대한 대체 생산기지 및 내수시장 활용 전략 등이 언급됐다.
아울러 연구원은 중국 시장이 여전히 우리 수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한류의 적극적인 활용과 합리적인 통상외교를 통해 대중국 수출부진을 점진적으로 해결하는 전략과 내수 위주로의 전환이 예상되는 중국시장 진출 분야를 온라인 및 서비스 등으로 공략하는 전략 등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