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29일 서울청사에서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부처 합동으로 열린 ‘통합물관리상황반 회의’에서 지난 1년 간 진행된 4대강 보 개방·모니터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4대강 보 사업은 지난 2012년 완공된 후 녹조발생과 수질악화, 생태계 교란 등 부작용 논란이 지속돼 왔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6월부터 4대강 16개 보 중 10개 보를 세 차례에 걸쳐 개방해 수질·수생태계 등 11개 분야 30개 항목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처리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모니터링 진행 결과 개방된 보의 물 흐름이 전반적으로 좋아져 조류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방 폭이 컸던 보를 중심으로 조류 농도가 유의미하게 줄었다. 보 수문을 완전히 개방한 세종보와 공주보의 조류 농도는 개방 전에 비해 40%나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영산강 승천보도 지난 4월 완전개방한 후 조류농도가 37%나 감소했다.
그러나 최대 개방 보를 중심으로 수질 오염 척도의 일종인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과 총인(T-P)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최대 개방한 세종보는 예년 대비 많은 강우량으로 인한 유입지천의 비점오염원이 증가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었다”며 “승촌보와 공주보는 보 개방에 따른 유속증가로 하천 바닥에 쌓안 퇴적물이 다시 떠오르면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일 수 있어 개방 기간 및 개방 폭을 확대해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 관리수위 근처에 위치한 대규모 취수장과 양수장 때문에 완전한 보 개방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홍 국무조정실장은 “제한적인 보 개방에도 불구하고 물의 체류 시간이 29~77%나 감소했고, 유속은 27%~43.1%까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물관리 일원화법 시행에 따라 국무조정실이 총괄하던 4대강 모니터링 업무를 올 7월 구성되는 환경부 민관합동조사평가단으로 이관하고, 국가 물관리위원회 중심으로 개편할 방침이다. 환경부 조사평가단은 민간 중심 전문위원회와 실무지원조직으로 구성돼 향후 보 개방 계획을 구체화해 처리계획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강·낙동강에 위치한 11개 보 등 대규모 취수장과 양수장 때문에 개방이 제한적으로 진행된 보에 대해서는 용수공급대책을 보강해 보 개방을 확대하고 추가 모니터링을 진행한 후 처리계획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홍 국무조정실장은 “지금까지의 제한적 개방으로는 향후 모니터링과 함께 수질개선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내·외부의 지적을 수용했다”며 “대규모 취수장이 없는 보는 최대개방을, 대규모 취수장이 있는 보들은 취수장 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개방하는 것으로 목표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