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재·부품 무역흑자는 508억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5.1% 증가했다. 이는 반기별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전산업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다. 수출이 1339억달러로 전년비 3.6% 늘어났고 수입도 1.6% 증가한 831억달러를 기록했다.
|
수입은 83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늘었다. 국내 설비투자 중국, 아세안(ASEAN)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해 전자부품(8.7%), 1차금속(5.8%), 화학물 및 화학제품(3.7%) 수입이 늘어난 영향이다. 소재 수입이 10분기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고, 부품 수입도 1.3% 증가했다.
특히 중국, 일본 위주의 교역 집중도가 완화되는 등 교역구조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 수출이 크게 늘어난 곳들이 미국(8.6%), 유럽(13.5%), 일본(4.4%) 등 모두 선진국이었기 때문이다.
대일본 소재·부품 무역수지는 78억9000만달러 적자(-24.0%)로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규모는 점차 감소되는 추세다. 핵심 소재·부품 국산화, 수입선 다변화 및 환율 변동에 따라 전자부품 등을 중심으로 대일 수입이 줄었으며, 대일 소재·부품 수입의존도는 사상 최저치(18.0%)를 기록했다.
대중국 소재·부품 무역흑자는 214억달러(-3.1%)로 소폭 감소했으나 교역액은 688억달러로 최대치를 보였다. 수출은 선진국 전자제품·자동차 수요회복 등으로 전자부품, 수송기계 및 일반기계 부품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수입은 중국발 공급과잉, 환율하락 등으로 통신기기·방송장비용 부품, 철강제품 및 화학원료 등이 늘었다.
다만 원화강세의 영향이 올해 하반기 어떤 영향을 끼칠지가 변수다. 지난해에도 엔저로 인해 상반기엔 수입가격이, 하반기엔 수입물량과 가격 모두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김 사무관은 “환율 효과가 통상 2~3개월 이후에 반영되는 만큼 원화강세가 올해 하반기 수출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소재·부품 수출 품목들이 대부분 자동차·전자부품 등 현지생산이 많아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또 선진국 수요가 살아나면서 수출 물량이 늘어나 상쇄되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