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제너럴일렉트릭)는 항공기 엔진 제작에서 엔진 하나에 센서 250개를 장착해 항공기 이·착륙 시 수집한 데이터 분석했다. 이를 통해 엔진의 고장 여부, 교체 시기 등을 예측해 선제적인 유지 보수를 지원했다. 그 결과 엔진장애 검출정확도가 10%나 향상했고 결항 건수도 1000건 이상 감소해 고객사 영업이익이 1억7500만 달러(약 2009억원 )를 웃돌았다.
정부가 미국의 구글과 GE처럼 국내 산업 전반에 산업데이터를 활용해 생산부터 서비스까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세계 4대 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초석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일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제품개발에서 생산, 유통, 서비스 등 산업 밸류체인 전 과정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산업 전반을 고도화하고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소재 등 10대 주력산업 분야 30개를 선정해 ‘문제 해결형 산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확대하기로 했다. ‘문제 해결형 산업데이터 플랫폼’이란 업계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전환 과제를 뽑아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산업데이터 활용을 통한 디지털 산업 혁신전략을 내세우는 것은 4차 산업혁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경제 활성화 등 산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급격히 진행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GVC)의 재편으로 산업지형이 급변하고 있어 자칫 산업 경쟁력 자체가 도태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지난 2018년말 기준으로 조사한 산업별 빅데이터 활용률을 보면 제조업은 0.9%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금융은 20.5%, 통신 7.4%, 유통 2.2%로 제조업의 산업데이터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장관은 “이번 대책은 개인과 공공, 산업데이터를 아우르는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GVC) 등에 따른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주력산업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전기차·소재 등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성공사례를 조기에 창출해 타 산업과 분야 등으로 확산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지능화 펀드 4천억 투입…전문인력 1.6만명 육성
정부는 자율주행차와 로봇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 스마트전자제품을 이용한 스마트 홈, 자율형 선박, 원격 수요관리를 통한 에너지효율 극대화 등 새로 도출한 과제를 중심으로 대규모 통합 연구개발(R&D)로 추진해 R&D 예산을 집중적으로 집행하기로 했다
김 정책관은 “AI를 접목해 스스로 작동하고 제어하는 고부가가치 지능형 제품개발에 주력할 것”이라며 “자율주행차와 자율선박운항, 스마트 홈 서비스, 신 전력 서비스 등 AI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개발도 함께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신속한 정책추진을 위해 규제 샌드박스(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면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하거나 유예하는 제도)와 규제혁파 로드맵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로 했다. 2025년까지 민·관 합동 산업지능화 펀드를 4000억원 조성해 D(디지털)·N(네트워크)·AI(인공지능) 선도기업에 60% 이상 집중투자하기로 했다.
법령정비도 이뤄진다. ‘디지털 기반 산업혁신성장 촉진법 제정’ 또는 ‘산업융합 촉진법 개정’ 등을 통해 민간에서 혁신적인 데이터를 활용한 선도 사례를 만들어내면 공공데이터 활용과 세제를 정부가 지원해주는 것이다.
디지털전문인력 양성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올해부터 AI융합형 산업현장 기술인력 양성과 디지털 전환 촉진 변화 인재 양성 정책을 추진한다. 석·박사급 산업 AI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내년에 신설해 2025년까지 1만6000명의 전문인력을 배출할 계획이다.
해외 진출을 확산하기 위해 디지털 통상협정(DPA)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첫 번째 대상 국가는 싱가포르다. 정부는 아세안 시장 진출의 교두보인 싱가포르와 DPA를 먼저 추진하고 중견국위주의 디지털 블록을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과 마이데이터 협력 정책을 공동 연구하고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서 전자상거래 대화체를 구축해 운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