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해외 주요 자동차 생산국의 브랜드별 공장가동 현황을 외신보도, 조사기관 자료를 통해 2차 조사한 결과, 19일 기준으로 가동공장 비율이 83.5%로 4월 중순(16일 기준) 28.8% 대비 54.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5일 밝혔다.
주요 13개국 자동차 생산국의 국가별 가동공장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4월 중순에는 한·중·일 등 동아시아 지역의 공장만 주로 가동됐던 것과 달리 북미와 유럽, 인도 등에서 순차적으로 공장 가동이 재개돼 전반적인 가동공장 비율이 상승했다.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주요 생산국의 공장은 4월 말부터 재가동했고, 미국과 인도의 공장은 5월 초부터 재가동에 돌입했다. 5월 중순부터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에서도 BMW, 벤츠 등 일부 브랜드가 공장가동을 재개하기 시작해 전체 가동공장 비율은 5월 말까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다만 공장가동 정상화 추세에도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위축, 국가별 봉쇄령 지속, 공장내 감염예방 우선대응 조치, 부품 수급 지연 등의 문제에 따라 실제 1교대 운영 등 공장별 생산량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폭스바겐, BMW, 벤츠, 르노 등 유럽계 브랜드는 4월말부터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의 공장가동 재개로 대부분 80% 이상의 양호한 가동공장 비율을 나타냈다. 북미지역 공장 비중이 높은 미국계 브랜드도 미국, 캐나다에서 공장 가동을 재개해 가동공장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최근 경영난을 겪고 있는 닛산의 가동공장 비율(60%)이 다소 저조하긴 하지만 토요타, 혼다 등 일본계 브랜드도 90% 수준을 보이고 있다.
협회 측은 “이처럼 주요 브랜드들의 공장 가동이 순차적으로 정상화됨에 따라 세계 시장에서 업체별 경쟁은 다시 격화될 전망”이라며 “우리 기업도 1분기에는 세계 주요시장 점유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2분기에 점유율 확대가 한층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관측했다.
더욱이 글로벌 수요도 올 1분기보다 2분기에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돼 수출비중이 높은 국내 자동차산업이 정상화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4월 수출이 36.3% 감소했으며, 5월에도 세계 경제성장률 하락 및 수요회복 지연 등의 여파로 수출 절벽이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글로벌 수요절벽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쟁 기업들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우리 업계는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할 우려가 있다”며 “기존 대출한도 유지 및 유동성 신속 공급, 공공구매 확대 등 내수촉진, 세금과 각종 공과금 납부기한 연장, 고용유지 지원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