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구조정 자문회사에서 국내 대표 PEF운용사로 성장
JKL은 애초 구조조정 자문 전문 회사로 출발했다. 2002년 CRC-JKL 1호를 결성하고 ㈜태창을 인수한 게 첫 투자다. 2009년 처음 사모펀드를 만들고 체질을 개선했다. 지금껏 △한국렌탈 △테이팩스 △휴비스워터 △팜스코 △티비에이치글로벌 △아이에이파워트론 △두올 △욱성화학 △원방테크에 투자해서 무난히 투자금을 회수했다. 내부수익률(청산 완료 펀드 기준)은 20.3%다.
현재 △블루홀 △동해기계항공 △티시이코퍼레이션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 △지디케이화장품 △거흥산업 △카스텔바작 △위드이노베이션 △HHSN △에스비시 △팬오션 △와이지원 △파낙스이텍 지분에 투자한 상태다. 현재까지 조성한 사모펀드는 10개다. 모집한 투자금은 1조5585억원이다.
이는 금융자문(FAS·Financial Advisory Service)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가능했다. 하림그룹을 자문해서 2011년 미국 중견 종합 닭고기업체 알렌패밀리푸드(현 알렌하림푸드)를 1400억원에 인수한 게 첫 발이다. 당시 인연으로 2015년 하림그룹과 컨소시엄을 꾸려 팬오션을 공동 인수했다. 하림과 식품기업을 인수한 경험은 CJ그룹과 협업으로 이어졌다.
현재 CJ제일제당과 미국 식품업체 쉬완스 컴퍼니를 인수하고자 준비 중이다. 금융당국과 주고받은 호흡도 좋았다. 2010년부터 2년간 한국정책금융공사(현 산업은행), 2014년 성장사다리사무국, 2015년 국민연금, 지난해 산업은행에서 각각 위탁운용사 계약을 따내 정책자금을 집행했다.
국내 PEF운용사 최초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그러나 초반에 시장 반응은 미지근했다. ‘기관투자자의 간섭이 커지면 경영활동이 위축한다’는 지적과 ‘연기금의 정치적 중립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JKL이 지난해 5월 첫 테이프를 끊었다. 얼핏 ‘경영참여형 사모펀드’가 투자 회사의 경영에 참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속으로 하는 ‘다짐’과 드러내고 하는 ‘선언’은 책임과 무게가 각각 다르다. JKL이 선발로 나서자, 머뭇거리던 시장 참여자의 동참이 이어졌다. 이달 현재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스튜어드십코드 기관으로 등록한 기관투자가는 67곳이고, 등록하려고 줄을 선 데는 40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