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아르마니나 페라가모처럼 대중화한 명품은 이름이 팔려 가치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차도 영국의 최고급 세단 벤틀리(3억원)로 바꿀 참이다.
60억대 빌라에 사는 30대 주부 B씨는 이탈리아로 출장을 간 의사 남편을 기다리고 있다. 가죽 명품 브랜드 '보테가 베네타'가 200개 한정판으로 내놓은 '로마 백'(1,700만원)을 사오기로 했기 때문.
B씨는 루이뷔통이나 샤넬, 구찌 등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그는 "큼직한 상표로 자신을 광고하는 브랜드는 촌스럽다"고 했다.
이들에게 루이뷔통 샤넬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고급 명품 브랜드는 관심대상이 아니다. 울트라 명품은 1,000만원 대 정장 및 구두, 억대 시계 및 보석 등 초고가에, 양산(量産)형이 아니라 수제(手製)형으로 보다 희귀하고 은밀한 브랜드를 가리킨다.
우선 남성정장. 미국 상류층에서 인기인 키톤(800만~3,000만원), 윌리엄 피오라반티(1,000만원), 아톨리니, 리아나 리(600만~800만원) 등이다.
남성구두의 울트라 명품으로 꼽히는 수제화 존롭(신라호텔 아케이드)과 벨루티(120만~1,000만원) 역시 지난해 한국에 입성했다. 보석과 가방은 신세계백화점 본관의 반 클리프&아펠과 보테가 베네타 등이다.
시계 역시 울트라 명품이 따로 있다. '롤스로이스 시계'로 불리는 브레게는 신세계와 롯데백화점에 입점해 있고, '바쉐론 콘스탄틴'에 이어 블랑팡 오데마피게 등(2,000만~1억5,000만원)도 롯데 에비뉴엘관에 곧 모습을 드러낸다. 자동차의 울트라 명품 페라리와 람보르기니도 하반기에 국내 판매를 시작한다.
울트라 명품은 오랜 전통과 진정한 장인정신, 100% 현지생산으로 무장한 희소성이 핵심이다. 단순히 고가이거나 마케팅에 의해 명품으로 인식되고, 디자이너의 명성에 힘입어 확장된 브랜드는 제외된다.
5대째 슈트 가업을 이어온 이탈리아의 키톤은 장인 350명이 최고급 원사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만들어 몸의 실루엣을 최상으로 표현했다고 한다. 영국 왕실이 애용하는 아톨리니 역시 100% 수공으로 '제2의 피부'라는 별칭이 있다.
보테가 베네타의 백은 희귀한 천연물감과 특별한 수작업으로 마무리해 고급스러운 윤택이 나는데, 상표가 없어 아는 사람만 진가를 알아본다고 한다. 1년에 고작 2만개 정도만 생산돼 울트라 명품으로 불리는 시계들은 스프링과 나사까지 손으로 깎는 데다 최고의 장인만이 간직한 뚜비옹(지구중력에 의한 오차를 제거) 기술이 담겨있다.
명품에 대한 한국인들의 선호도와 구매력은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 울트라 명품시장 역시 비슷한 소득수준을 가진 나라 중에선 한국이 단연 최고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한 관계자는 "기존명품은 이미 대중화되어 있어 희소성과 가치가 떨어진 측면이 있다. 그러다 보니 구별짓기를 원하는 최상위층은 울트라 명품을 찾게 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울트라 명품의 등장은 국내 명품시장의 완성이란 분석이 있다. 하지만 동시에 우리사회의 양극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소비행태라는 비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