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당 내홍 사태의 수습에도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이번 복당논란의 과정에서 뿌리깊은 계파갈등 구조가 여실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자존심을 구긴 친박계가 전열을 재정비해서 당권장악에 나서고 비박계 역시 총력전으로 맞대응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제 남은 것은 친박·비박의 차기 전대 진검승부다.
◇‘더 이상의 분열은 공멸’ 여론부담 느낀 친박·비박, 확전 자제 선택
유승민 복당허용 후폭풍이 정리된 것은 양대 계파의 전략적 후퇴 때문이다. 총선참패 이후 두 달 여가 지나도록 여전히 정신을 못차린다는 민심의 싸늘한 비판여론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
강공에 나섰던 친박계는 수위조절에 나섰다. 지난 16일 혁신비대위의 무소속 탈당파 의원 7명에 대한 일괄복당 허용 당시만 해도 ‘비대위 쿠데타’라면서 격렬하게 반발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유승민 복당을 성토했던 친박 강경파 일부는 당내 의견수렴 절차가 미진했다면서 정진석 원내대표의 사퇴까지 촉구했지만 공개사과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는 친박 좌장격인 8선의 서청원 대표와 친박 중진들이 비대위 결정의 수용을 촉구한 데다 비대위의 일괄복당 결정을 뒤집을 만한 명분은 물론 현실적 수단도 없었기 때문이다.
◇차기 전대서 집안싸움 재점화돌 듯
새누리당 계파갈등은 한동안 소강상태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20일 정진석 원내대표의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대표 연설을 시작으로 6월 임시국회가 본격화한다. 그러나 7월 5일 본회의 일정을 마치고 나면 당은 본격적인 전대 국면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문에 차기 당권장악을 위한 친박·비박 계파간 세대결은 불가피한 양상이다.
특히 차기 당 대표의 책임과 권한은 막중하다. 내년 대선에서 대선후보 경선관리는 물론 4월 재보선 공천, 2018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까지 행사할 수 있다. 더구나 당 지도체제가 집단지도체에서 단일성 지도체제로 개편될 경우 차기 당 대표는 새누리당 역대 어떤 대표보다 무소불위의 파워를 행사할 수 있다.
총선참패 책임론 탓에 그동안 숨죽이며 정중동 행보를 유지해온 친박계는 이른바 ‘최경환 대세론’을 내세워 반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당내 비주류인 비박계도 유승민 의원의 입당에 따라 구심점이 마련되면서 힘을 더 얻었다는 평가다. 물론 유 의원의 향후 행보가 당권인지 대권인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차기 전대에서 ‘최경환 대 유승민’의 빅매치가 성사된다면 양대 계파의 전면전은 불가피하다. ‘유승민’을 키워드로 4.13 총선 공천파동, 6.16 일괄복당 과정에서 일진일퇴의 공방을 벌인 데 이어 차기 전대에서 마지막 총력전을 벌이는 셈이다.
▶ 관련기사 ◀
☞ 김희옥, ‘정진석 폴더 사과’ 수용…與 복당파문 극적 봉합(종합)
☞ 친박 조원진 “복당 신청도 안했는데 왜 복당 결정하나”
☞ 與비대위·일부 친박계 “복당결정 번복 불가”
☞ '劉복당'에 허 찔린 靑 "드릴 말씀 없다"..이틀째 '침묵'
☞ 원유철, 복당결정에 “靑과 교감 없었을 것”
☞ 한선교 “유승민 복당, 당헌·당규상 큰 하자 없다”
☞ 홍문종, 복당결정 논란에 “정진석도 일부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