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지정 당시에는 보행 인구가 늘어나면 유동인구가 늘어 지역 상권 매출도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하지만 상인들은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된 후 오히려 근처 상권이 죽고 있다고 주장한다. 신촌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김모(42)씨는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후 근처 대학생 이외에 손님들이 사라졌다”며 “차량 진입이 안 되니 자가용을 주로 이용하는 30~40대는 아예 신촌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서대문구는 10월 시행을 목표로 연세로 차량 통행 허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서대문구 관계자는 “차량 통행은 정상적으로 하되 축제가 필요하면 그 시기에만 교통 통제를 해도 된다”며 “상권 활성화와 문화도 같이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연세로 인근 대학교 학생들 및 세브란스 병원 직원들은 통행 불편과 거리문화가 사라지는 것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서강대에 재학 중인 이진규(22)씨는 “차량 통행이 금지된 덕에 거리 공연이나 행사가 많았다”며 “문화가 신촌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는데 오히려 특색이 사라지는 것”고 아쉬워했다.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다니는 간호사 심가영(29)씨는 “차가 없어 걷기도 좋고, 버스킹 등 공연도 있어서 신촌에 더 자주 갔다”며 “문화가 사라지면 굳이 신촌까지 가진 않을 것 같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연세로 뿐만 아니라 주변 도로 시설 인프라를 정비해 신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강경우 한양대 교통물류공학과 교수는 “신촌은 대중교통 및 보행 여건 자체가 좋지 않은데, 차량만 통제하니 상권이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유럽을 보면 트램같은 대중교통 인프라가 충분하고, 광장·성당 등 지역 명소가 있어 보행자들이 걸을 유인이 충분한 곳에 주로 대중교통지정을 한다”고 지적했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연세로는 그대로 두더라도 300m 내외에 주차 시설을 충분히 공급하고, 일방통행이 많은 이면도로를 재정비 해 자동차로도 신촌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