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된 중국 경기가 다소 진정되기 시작했다는 얘기가 들리기도 하지만 이같은 해석을 받아들여도 될지 논란이 뜨겁다.
◇ 주춤한 지표들..중국 과열경기 식고있나
지난 8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비 1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17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16.9%를 밑도는 수치다.
중국 내 투자열기도 주춤하는 모습이다. 같은 기간 중국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1.5% 증가, 전월 27.4%보다 낮아졌다. 고정자산 투자도 전문가들의 예상에는 못미쳤다. 국가통계국은 정부의 금리인상과 토지이용 및 은행대출 규제 등의 긴축정책으로 고정자산 투자 붐이 주춤해졌다고 분석했다.
또 금리인상 영향으로 시중 통화공급 증가세도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총통화(M2)증가율도 17.9%로 전월 18.4%보다 0.5%포인트 낮아졌다.
최근 공개된 주요 지표들이 이처럼 시장 전망치를 비껴가면서 정부의 긴축정책이 드디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 중국의 '나름대로' 긴축정책 효과보나..글쎄?
중국 경제가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긴축정책을 이끌어내기까지 중국이 걸어온 길은 멀고도 험난했다.
찰스 슈머(민주)와 린지 그레이엄(공화) 미 상원위원은 중국을 상원 지도부에 보낸 서한에서 9월 마지막주 대중환율보복법안을 표결해 줄 것을 요청한 상황이다.
또 다른 유사 법안 제출건도 중국을 짓누르고 있다. 상원 금융위원장 찰스 그래슬리와 맥스 바커스 의원도 환율을 공정하게 운영하지 않는 나라를 대상으로 한 법안을 제출했다.
미국 등 외부 세력들은 아직 만족하지 못하기는 하지만 중국 인민은행도 그간 나름대로 긴축정책을 실시했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7월 페그제를 폐지하고 위안화를 2% 절상한데 이어 시중 은행의 지급준비율과 대출금리를 지난 4월 이후 두 차례 인상했다. 러나 상하이 증권보는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의 갈 길이 아직 멀었다고 지적했다.
지난 8개월간 중국 금융기관들의 총 대출은 2조5400억위안(3180억달러)에 달해 올해 총 목표치인 2조5000억엔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M2 증가율 역시 전월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중국은행의 목표치인 16%를 웃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지난달 총통화공급이 중국 정부의 긴축 정책의 성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지급준비율과 예금 및 대출 금리를 올리는 등 취해야 할 조치가 아직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