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면역항암제 급여 투약 기관은 차세대 항암제로 꼽히는 면역항암제의 국민건강보험 급여가 인정되는 기관으로 기존 1억 원 이상의 약값을 부담해야 했던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부담을 연간 5% 이하로 낮출 수 있게 됐다.
양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선혜 과장은 “면역항암제는 기존 치료제 대비 부작용이 적고 효과 지속 기간도 긴 치료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고가여서 환자들의 접근성이 낮았던 문제가 있었다”며 “이번 건강보험 적용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환자들이 보다 큰 치료효과를 보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면역항암제, 체내 면역체계 활용해 기존 항암제 대비 부작용 적고 효과 지속기간이 길어
그 동안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치료 등이 활용되었다. 그 중 약물치료는 전이 등으로 인해 외과적 수술로 제거가 어렵거나, 수술 전 종양 크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돼 왔다.
그러나 약물치료는 부작용이 심해 환자 부담이 컸다. 1세대 항암제로 꼽히는 화학항암제가 대표적으로, 암 세포가 다른 세포보다 빨리 자란다는 점을 이용해 정상 세포보다 성장이 빠른 세포를 공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암세포는 물론 모발, 백혈구, 생식세포 등 성장이 빠른 정상세포도 공격해 탈모나 구토, 피로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2세대 표적항암제는 암세포의 특정 유전자만 공격, 화학항암제보다 부작용은 적지만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들에게만 적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면역항암제는 이러한 암세포의 면역회피기능을 제거,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만든다. 결국 화학항암제보다 부작용은 적으면서도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와 관계없이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1,2세대 항암제에서 보여주지 못한 지속 가능한 항암효과를 보여주기도 한다.
다만 면역항암제는 항암제에 효과가 있을지 없을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아직 완전하지 않고, 치료 초기 질병이 진행하는 양상을 띄는 경우도 있어 경험 있는 의료진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올 8월부터 92개 병원 통해 보험급여 적용, 점차 활용 범위 넓어질 것
지난 8월 정부에서 면역항암제 국민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시작됨에 따라 가장 큰 단점 중 하나인 가격에 대한 환자들의 부담은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문재인 케어’에 의하면 약에 따라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350만원~ 490만원 선으로 이전 대비 5% 정도만 부담하면 된다.
다만 급여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 지정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면역항암제에 대한 사용경험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만큼 예상치 못한 부작용에 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흑색종과 비소세포폐암을 제외한 암의 오프라벨(허가외 사용) 처방을 받기 위해서는 다학제 심사위원회가 갖춰진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다만 면역항암제의 효과가 보다 넓은 암 질환에서 효과를 보이고 있어, 보건당국의 허가가 떨어질 경우 더 많은 암 환자들이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실제 최근 1개 약물에 대한 적응증이 추가되었고 다른 1개 약물 또한 적응증 임상 시험을 진행 중인데,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암 환자들이 면역항암제를 통한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김선혜 과장은 “면역항암제는 암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나 어떤 환자들이 효과를 볼 지에 대해 판별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향후 수 년 내 많은 암환자들의 치료효과를 확신하기 위한 임상연구에 대한 관심과 지원도 절실하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