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10년 전인 조지 W. 부시 대통령 정부 시절 남발된 감세 정책이 현재의 막대한 적자를 만들어냈다고 보도했다. 이것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증세 논리에 힘을 실을 지 주목되고 있다.
|
정치가들은 결국 감세와 지출 증대를 택했고 2001년초 상원 예산위원회 위원장을 지난 피트 도메니시는 "마침내 수문이 열리게 됐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오히려 가장 큰 이유는 감세 등이 야기한 세수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여기에는 부시 정부 시절 실시된 여러 차례의 감세와 아프카니스탄전 등 군사개입 비용 등이 더해졌고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이나 2009년 버락 오바마 정부의 부양책이 초래한 부채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평가했다.
클린턴 정부 시절 재무장관을 지내며 흑자재정을 이끌었던 로버트 루빈은 WP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이를 부채 상환에 먼저 써야 한다고 밝혔지만 정치적 스펙트럼의 반대쪽에서는 감세에 활용하길 원한 것이 문제였다"며 "그들은 국민들에게 돈을 돌려줘야 한다고 말했지만 결국 부채가 되어버렸다"고 말했다.
결국 부시 정부 시절 수차례의 감세가 실시됐는데 경기 활황기엔 이를 충분히 감내할 수 있었지만 후임기에는 그렇지 못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폴 오닐 전 재무장관도 "2004년 당시 백악관은 경제 부양을 통해 대통령 재선 성공을 이끌기를 원했다"고 말했다.
특히 10년 전 정부의 세수가 국내총생산(GDP)의 20%선에서 항상 머물 것이라며 낙관적인 예산전망을 내놨던 CBO가 현재는 가장 암울한 재정적자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는 것도 지금과는 대조적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